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도입국 초등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한국어능력 및 학교적응의 종단적 관계 분석

이용수 87

영문명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Acculturative Stress, Korean Proficiency, and School Adjustment in Immigrant Elementary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혜미(Hye-mi Lee) 김유미(You-mi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1호, 525~539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15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입국 초등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한국어능력, 학교적응 사이의 종단적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2기 패널의 1차년도(2019년)부터 3차년도(2021년)까지 3년간의 자료 중 연구변인에 모두 응답한 중도입국 청소년 327명의 자료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한국어능력, 학교적응 등 모든 잠재변인은 모든 시점에서의 자기회귀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교차지연효과는 모든 시점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나타났으나 변인에 따라 다른 결과가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다음 시점의 한국어능력과 학교적응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한국어능력은 다음 시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학교적응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학교적응은 다음 시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한국어능력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선행연구와 관련지어 논의한 후 이론적, 실제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acculturative stress, Korean proficiency, and school adjustment in immigrant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To this end, we analyzed the data from 2019(1st) to 2021(3rd) of 327 immigrant elementary school panel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the 2nd term)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Resul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All latent variables including acculturative stress, Korean proficiency, and school adjustment showed significant autoregressive effects across all time points. Additionally, cross-lagged effects consistently exhibited in the same direction across all points, but yielded different findings depending on the variables. Specifically, acculturative stress significantly impacted both Korean proficiency and school adjustment at the subsequent two time points. Across the next two points, Korean proficiency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acculturative stress, but not school adjustment. School adjustment significantly influenced both acculturative stress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t the subsequent two points. Conclusions We discu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 relation to previous studies and then draw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혜미(Hye-mi Lee),김유미(You-mi Kim). (2024).중도입국 초등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한국어능력 및 학교적응의 종단적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1), 525-539

MLA

이혜미(Hye-mi Lee),김유미(You-mi Kim). "중도입국 초등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한국어능력 및 학교적응의 종단적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1(2024): 525-5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