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등 사회과 예비교사의 학교현장실습 경험: 비사범계 학생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용수 95
- 영문명
- School Field Training Experience of Secondary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Focusing on non-college of education student experi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가나(GaNa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1호, 961~99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15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사회과 예비교사들이 학교현장실습 중 교과 수업 경험을 통해 교과 교사로서 자신에 대해서 어떤 평가를 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교과 수업 속 교사와 학생들의 모습을 통해 실제 사회과 수업에 대해 어떤 인식과 판단을 하게 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비사범계 교직과목을 이수하고 있는 학부와 교육대학원 소속 사회과 예비교사 16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FGI)을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의 학교현장실습 중 교과 수업의 경험을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스스로에 대해 교과 지식에 대한 부족함을 깨달으며 교사로서의 전문성에 의구심을 가지게 되었고, 통합사회 수업을 경험하면서 대학에서 배운 이론적 논의와 상충되는 현실을 보며 당황하고 혼란스러워했다. 한편, 사회과 선택과목 수업에서는 서로 다른 목적으로 수강하게 된 학생들이 이동수업 형태로 만나게 되면서 서먹한 분위기에서 소극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결론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 내용 영역의 특징에 맞게 내용 지식에 대한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예비교사 교육과정의 보완이 필요하며, 앞으로 적용될 고교학점제를 앞두고 통합사회 과목이나 선택과목 모두 교육과정 취지에 맞는 수업 실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제도적 실천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I will analyze how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come to evaluate themselves as subject teachers through their experience teaching subjects during school field training. and analyze the perceptions and judgments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come to make about the actual society and classes through the teachers and students they encounter in their subject classes.
Methods For this reason,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FGI) with 16 social studies students affiliated with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taking non-instructional fiel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e-service teachers realized that they lacked subject knowledge and began to question their professionalism as teachers. and While taking an integrated social studies class, the pre-service teachers was faced with a reality that contradicted the theoretical discussions they had learned at university, and they felt panicked and confused. On the other hand, In the social studies elective class, pre-service teachers sometimes experienced difficulties as students who had come to the class for different purposes reacted negatively to the class due to the atmosphere they were living in.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so that teachers can acquire expertise in content knowledge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studies content area. and Ahead of the applic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t is necessary to make systematic and practical efforts to achieve teaching practices that are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the curriculum for both integrated social studies and elective subjects.
목차
Ⅰ. 서론
Ⅱ. 예비교사에게 학교현장실습 경험의 의미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21호 목차
- 중도입국 초등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한국어능력 및 학교적응의 종단적 관계 분석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 아동학대 연구의 질적 메타분석
- 양극성 장애 환자의 자가관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효과
- VR을 활용한 초등 역사수업 교수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비교과 프로그램 연계 모의수업 시연의 효과 분석: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 교수기술, 음악 교수효능감 및 교수내용지식을 중심으로
- 대학 교양체육 수업 자도자의 교수열정과 교수이미지가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
- 유아 기질척도(KTS-P)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마음챙김 기반 젠탱글(Zentangle)의 활용 방안 모색: 아동 대상 젠탱글아트명상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한부모이주여성 차별 경험 연구
-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교사 및 입학사정관의 인식 분석: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기재 및 평가 방식 중심으로
- IB PYP와 2022 개정 교육과정 비교를 통한 주제 중심 초학문적 환경교육 방안 모색
- 온라인 교육사례 동향 연구를 통한 ESD와 평생교육에 대한 시사점 도출
- 한국과 미국의 부모가 기대하는 영유아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비교 연구
- 초등학교 학급응집력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순환소수에 대한 인식과 도형의 무한합에 대한 이해
-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 연구에 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실패공포를 통한 인정욕구의 조절된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놀이민감성과 교사핵심역량의 관계에서 코칭역량의 매개효과
- 유아 사회정서지원 과정에서 유아교사가 경험하는 보람과 어려움
- 영아교사의 전문성 관련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청소년의 에너지드링크에 대한 인식 분석
- 유아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 원장의 전문성 역할기대 및 역할수행 일치여부와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 대취타의 음악 요소를 활용한 중학교 LMMS 창작 수업 지도 방안 연구
- 고등학생의 외⋅내향성과 스트레스 후 식습관 변화와의 상관성
-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아동권리인식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수퍼비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 메타버스 활용 교육 연구동향
- 영아반 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어린이집 조직문화, 일과 삶의 균형,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발달장애 대학생의 장애무용 수업 실천적 지식 형성 과정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국제결혼 다문화 부모의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간 구조관계: 사회적 지지의 다중집단분석
- 영유아 교사의 놀이 중심 학습공동체 연구동향 분석: 2020-2024년을 중심으로
- 전문상담교사의 진정성 발현 과정에 대한 탐색: 구성주의적 근거이론 접근
- 중⋅고등학생을 위한 경제교육 프로젝트기반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 ‘합리적 소비’와 ‘자산관리’를 중심으로
-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사이버 비행에 미치는 영향: 그릿과 공격성의 이중매개효과
- 카데바 실습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영향 요인
- 초⋅중등 생산기술 문제해결 학습경험의 계열화
- 대학생의 신체화 증상에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미치는 영향: 우울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
-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와 학업수행능력의 조절효과
- 의과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 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
- 성인대학생의 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전공 일치 여부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은유 분석(Metaphor Analysis)을 활용한 대학생의 대학 교육과정 인식 연구
- 중국과 한국 사교육 정책의 특징 비교 연구: 중국의 ‘쌍감(双减)’정책을 중심으로
- 게이미피케이션을 활용한 환자안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의약품 주입펌프 연결 수액의 급속주입 관련
-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Expectations, Resilience, and Body Satisfaction of Ballet Learners in the New Normal Era
-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 학업 무기력의 관계: 스마트폰 과의존과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목적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와 스마트폰 의존도 간의 관계
- 체계기능언어학의 논리적 은유와 접속어미를 대체하는 다단어 표현의 관계
- 자폐 청소년의 지역사회기반 사회성 발달과정에 관한 종단적 사례연구: 13세에서 22세까지
-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예비영유아교사의 수업시연 내용 연구: 멘토링 중심 수업시연대회에 따른 변화
-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인성이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상담자의 전문직 정체성과 자기효능감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조절된 매개효과
- 토론학습 기반 생명윤리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자아개념과 윤리적 민감성에 미치는 효과
- 학교 축제와 연계한 중학교 학교자율시간 운영 방안의 시론적 탐색: 핵심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력과 완벽주의 성향이 사회적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Exploring International Students’ Attitudes towards Global Citizenship Course by Applying Q Methodology: Focusing on UNESCO’s Conceptual Framework
- 한의학교육프로그램 평가에 CIPP 교육과정 평가 모형 적용 가능성 탐구: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 평가인증 편람을 바탕으로
- 연구사적 관점에서의 발생적 문식성 개념 검토: Marie M. Clay의 이론을 중심으로
- 중등 사회과 예비교사의 학교현장실습 경험: 비사범계 학생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여가시간 활용에 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 내현적 자기애 성향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향상을 위한 자기자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이 간호전문직관의 영향: CHAID를 이용한 예측모형
- 부모의 문화자본이 초등학생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정의적 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2019 개정 누리과정 현장지원자료의 디지털 시민성 분석: 디지털 놀이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근로자의 셀프리더십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평생교육 프로그램으로 중년여성을 위한 ‘의자요가’의 활용가능성 탐색
- 대학생의 학습역량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과 진로탐색행동의 순차적 매개효과
- 지능정보화 사회의 특수교사 수업 역량에 대한 인식과 교육요구도 분석
- 사회적 관점취득을 적용한 문화다양성 수업 방안 설계: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학교적응 잠재프로파일 연구: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또래애착과 자기조절학습 영향력 탐색 및 사이버비행 인식 차이 검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육과정부 부장교사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기도 A시 교육지원청 관내 12개교를 대상으로
- 교육발전특구 추진과정에 나타난 일반행정과 교육행정 간 의사결정과정 분석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