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메타버스 활용 교육 연구동향

이용수 67

영문명
Research Trend of University Metaverse utilization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보람(Bo ram Ch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1호, 401~41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15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 메타버스 활용 교육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추후 대학 메타버스 활용 교육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24년 2월부터 2024년 4월까지 이루어졌다. 2주 동안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였고 2주 동안 연구계획을 수립하였으며 3월1일부터 4주 동안 분석대상인 논문을 수집하였다. 국내 학술지 42편을 선정하여 4월 1일부터 4주 동안 연구시기, 연구유형, 연구내용, 전공영역, 관련변인, 수업유형, 수업기간, 플랫폼 동향을 분석하고 기술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 메타버스 활용 교육 연구는 2023년에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유형별 동향은 혼합연구의 비중이 높았고 양적연구, 개발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 영역별 동향은 교육학에서의 활용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연구내용별 동향은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관련 변인별 동향은 독립변인으로는 메타버스 활용 수업이, 매개변인으로는 몰입감이, 종속변인으로는 학습만족도와 학습실재감의 활용이 높았다. 여섯째, 수업유형별 동향은 교과 영역의 비중이 높았다. 일곱째, 수업기간별 동향은 13주가 가장 많았다. 여덟째, 플랫폼별 동향은 게더타운의 활용이 높았다. 결론 본 연구는 대학 메타버스 활용 교육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추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s in university metaverse utilization education and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university metaverse utilization education research.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2024 to April 2024. Related prior studies were analyzed for two weeks, a research plan was established for two weeks, and papers to be analyzed were collected for four weeks from March 1. 42 domestic academic journals were selected, and the research period, research type, research content, major field, related variables, class type, class period, and platform trends were analyzed and described for four weeks from April 1. Results First, the most educational research on university metaverse was conducted in 2023. Second, the trend by research type showed a high proportion of mixed research, followed by quantitative research, development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Third, trends by major area showed high utilization in education. Fourth, in terms of trends by research content, the most research was conducted on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for education using the metaverse. Fifth, the trend for each related variable showed that metaverse utilization classes were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immersion was used as a mediating variable,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presence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Sixth, trends by class type showed a high proportion of subject areas. Seventh, the trend by class period was highest at 13 weeks. Eighth, the trend by platform showed high utilization of Gathertown.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rends in educational research using university metaverse and propos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보람(Bo ram Cho). (2024).대학 메타버스 활용 교육 연구동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1), 401-414

MLA

조보람(Bo ram Cho). "대학 메타버스 활용 교육 연구동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1(2024): 401-4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