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신체화 증상에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미치는 영향: 우울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

이용수 78

영문명
The Effect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on College Students' Somatic Symptoms: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영주(Young Ju Jung) 안선희(Sun Hee Ah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1호, 561~57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15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신체화 증상에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소재 4년제 2개 대학교 학생 상담센터에 방문하여 상담받은 학생 10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학생의 신체화 증상,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우울, 분노억제를 측정하였으며, SPSS 28.0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상관관계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대학생의 신체화 증상,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우울, 분노억제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대학생의 신체화 증상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의 관계에서 우울, 분노억제가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자녀의 부정적 정서인 우울과 분노억제에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이 신체적인 증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대학생의 신체화 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치료적 개입에 있어 가족 변인의 중요성과 함께 개인 정서 변인인 우울과 분노억제를 잘 다루어 나갈 수 있는 상담 개입의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다. 이에 신체화 증상의 예방과 조기 개입에 있어 개인의 내재된 특성인 우울과 분노억제 수준을 낮추는 것이 효과적인 예방과 치료의 출발점이 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in the effect of the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on college students' somatic symptom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06 students who visited the counseling centers of two 4-year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The study measured students' somatic symptoms,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de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8.0.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through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for mediation effects, and the Sobel Test. Result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college students' somatic symptoms,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de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De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somatic symptoms and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In other words,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the students' negative emotions, such as de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and this influence is manifested as physical symptoms. Conclusions The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therapeutic interventions aimed at reducing college students' somatic symptom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family-related variables as well as individual emotional variables such as de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It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addressing these emotional factors in counseling interventions. This suggests that reducing levels of de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which are inherent personal characteristics, can be an effective starting point for the prevention and early intervention of somatic sympto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영주(Young Ju Jung),안선희(Sun Hee Ahn). (2024).대학생의 신체화 증상에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미치는 영향: 우울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1), 561-576

MLA

정영주(Young Ju Jung),안선희(Sun Hee Ahn). "대학생의 신체화 증상에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미치는 영향: 우울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1(2024): 561-5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