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이 간호전문직관의 영향: CHAID를 이용한 예측모형

이용수 85

영문명
The Effect of Nurses' Job Stress and Resilience on Nursing Professionalism in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Wards: A Prediction model using the CHAID Regression Tre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수진(Su-jin Kim) 정경화(Kyoung Hwa Jo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1호, 1047~106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15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특성,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주요한 요인 간의 예측모형을 구축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J지역 250병상 이상 3개 종합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서 근무하는 임상경력 1년 이상인 간호사 1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23년 1월부터 2월까지였으며 SPSS/WIN 27.0을 활용하여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 상관계수, 위계적회귀분석, Chi-square automatic interaction detection (CHAID)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간호전문직관은 연령(r=.18, p=.016), 간호사 경력(월)(r=.18, p=.016), 회복탄력성(r=.56, p<.001). 수정된 R2는 0.350으로 회귀모형이 간호전문직관을 35%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β=.493, p<.001)은 간호전문직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현 부서(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만족도(β=-.197, p=.001)가 그 뒤를 이었다. 회귀나무모형에서 간호전문직관을 예측하는 주요한 두가지 요인은 회복탄력성과 부서이동희망이었다. 결론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간호 전문성 향상을 위해 본 연구에서 파악된 변수를 바탕으로 역량개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resilience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es working in an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wards and build a prediction model.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188 nurses with a clinical experience of 1 year or more, who worked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wards of three general hospitals with more than 250 beds. Data was collected from January to February, 2023, and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the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chical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regression trees by using Chi-square automatic interaction detection (CHAID). Results Nursing professionalis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ge (r=.18, p=.016), total experience as nurse (month) (r=.18, p=.016) and resilience (r=.56, p<.001). The adjusted R2 was 0.350, indicating that regression model explained 36.2% of nursing professionalism. Resilience had the greatest impact on nursing professionalism (β=.493, p<.001), followed by job satisfaction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β=-.197, p=.001). In a regression tree model, wo main predictors of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resilience and the atittude to interdepartmental rotation. Conclusion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es working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wards, it is expected that a competency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will be developed based on the variables identified in this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진(Su-jin Kim),정경화(Kyoung Hwa Joung). (2024).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이 간호전문직관의 영향: CHAID를 이용한 예측모형.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1), 1047-1062

MLA

김수진(Su-jin Kim),정경화(Kyoung Hwa Joung).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이 간호전문직관의 영향: CHAID를 이용한 예측모형."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1(2024): 1047-10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