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역사회 문제 해결형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디지털 리빙랩의 활용 방안 연구

이용수 45

영문명
A Study on Bio-healthcare Digital Living Lab to Solve Community Problem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남신은(Shin-Eun Na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743~757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의 디지털 리빙랩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대학이 가진 특성화 분야를 기반으로 지역사회와 연계한 리빙랩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정책적 개선 방향을 제언하는데 있다. 방법 2022년 9월 1일부터 10월 10일까지 전북지역 소재의 대학에서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 교과목 수강신청 학생과 관련 학과 교원 및 산업체 150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 ver. 22.0 statistical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교차분석, independent t-test, 1-way ANOVA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들은 지역사회 생활환경에 대해 5점 만점 기준 3.68점의 만족도를 보였고, 성별로는 남성(3.77±0.90)이 여성(3.62±0.85)보다 높았고, 연령별로는 20대(3.86±0.80)가 가장 높았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만족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역 현안 중 ‘문화/여가 분야’가 본인 삶의 질에서 가장 중요하며(28.2%) 개선이 시급한 분야(27.6%)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개선 시 파급효과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는 일자‘/리창업 분야’(33.9%였다)또한. 연령 및 신분에 따라 개선이 시급한 분야와 파급효과가 큰 분야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가 지역현안 해결 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고(52.7%), 그것의 추진에 있어서 지역주민의 참여가 필요하다고는 인지하고 있었으나(70.4%), 본인의 참여 여부는 프로젝트 성격에 따라 고려하겠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48.8%). 다만 10대에서는 지역현안 해결가능성 및 삶의 질 개선 가능성, 주민참여의 필요성, 참여의향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p<.05). 결론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 디지털 리빙랩의 추진 시 그것의 성격과 추진방향에 대한 지역사회 주민의 정확한 사전 요구분석이 필요하다. 지역사회 문제 해결형 디지털 리빙랩을 추진함에 있어 대학은 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기술 제품··서비스를 실험하면서,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에 특화된 디지털리빙랩 인프라 구축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 바이오 헬스케어 리빙랩의 확산 및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요구와 대학의 특성화 분야를 함께 고려한 리빙랩 플랫폼 기획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프로젝트형이 아닌 인프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Bio-healthcare Digital Living Lab for solving community problems and to suggest policy improvement so that it can be utilized based on the speci-alized fields of university. Methods From September 1 to October 10, 2022,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50 students enrolled in bio-healthcare courses at universities in the Jeonbuk region, as well as faculty and community industrial company related Bio-healthcare depart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 ver. 22.0 stat-istical program.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χ-square, independent t-test, and 1-way ANOVA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study showed satisfaction with the community living environment at 3.68 out of 5. By gender, it was higher in men(3.77±0.90) than in women(3.62±0.85), and by age, it was highest in people in their 20s(3.86±0.80), and satisfaction tended to decrease as age increased. Among local issues, ‘culture/leisure’ wa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in terms of quality of life(28.2%) and an area in urgent need of improvement(27.6%), and the area expected to have the greatest ripple effect if improved was ‘jobs/start-up’(33.9%). In addition,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in areas requiring urgent improvement and areas with large ripple effects depending on age and status(p<.05). They recognized that the bio-healthcare field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resolving local is-sues(52.7%), and that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was necessary in promoting it(70.4%), but the highest re-sponse was that they would consider their participation depending on the nature and direction of the project (48.8%). And, teenag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st scores in terms of possibility of solving local is-sues, possibility of improving quality of life, need for resident participation,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p<.05). Conclusions In process of promoting a digital living lab in the bio-healthcare, an accurate preliminary analysis of the needs of local community residents regarding its nature and direction is necessary. And, in promoting a digital living lab that solves community problems, universities must play a role in building a digital living lab infrastructure specialized in the bio-healthcare field while experimenting with technology, products, and services through com-munity linkage. Lastly, for the expansion and sustainability of community bio-healthcare living labs, it is necessary to plan a living lab platform that considers both the community's needs and the university's specialized fields, and it is need to develop into an infrastructure rather than a project typ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신은(Shin-Eun Nam). (2024).지역사회 문제 해결형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디지털 리빙랩의 활용 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0), 743-757

MLA

남신은(Shin-Eun Nam). "지역사회 문제 해결형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디지털 리빙랩의 활용 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0(2024): 743-7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