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치원 교사의 놀이전문성과 놀이지원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

이용수 72

영문명
The meditating effect of autonom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based professionalism and play support 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은정(Eun Jung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661~67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놀이전문성과 놀이지원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에 목적을 두었다. 방법 부산, 경남지역 공사립유치원 교사 259명을 대상으로 놀이전문성, 자율성, 놀이지원효능감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Hayes(2013)의 PROCESS mac-ro v.4.2(model 4)를 이용하여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Bootstraping을 통해 살펴보았다. 결과 유치원 교사의 놀이전문성과 자율성, 놀이지원효능감에 대한 인식은 평균이 모두 4.00 이상으로 대체로 높게 나타났고, 변인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놀이전문성은 자율성과 놀이지원효능감에 각각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자율성은 놀이지원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놀이전문성과 놀이지원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율성은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치원 교사의 놀이지원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놀이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노력과 함께 교사의 자율성이 보장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utonom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lay based professionalism and play support efficacy. Methods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play based professionalism, autonomy, and play support efficacy scales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to 259 teachers a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the Busan and Gyeongnam region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3.0. In addition, th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using Hayes's (2013) PROCESS macro v.4.2 (model 4),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was examined through bootstrapping. Results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play based professionalism, autonomy, and play support efficacy were generally high, with averages above 4.00, and there appeared to b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Kindergarten teachers' play based professionalis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utonomy and play support efficacy, and Kindergarten teachers' autonomy had a positive effect on play support efficacy. Autonomy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based professionalism and play support 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s. Conclusions This suggests that in order to increase kindergarten teachers' play support efficacy, teachers' au-tonomy should be guaranteed along with efforts to increase play based professionalis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정(Eun Jung Kim). (2024).유치원 교사의 놀이전문성과 놀이지원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0), 661-673

MLA

김은정(Eun Jung Kim). "유치원 교사의 놀이전문성과 놀이지원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0(2024): 661-6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