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규위탁 원장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에서의 공공성 저해 요인 탐색
이용수 123
- 영문명
- Exploration of Disturbance Factors of Publicness in the New Entrusteded Directors’s Public Child Care Centers Manage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미영(Mi-Young Lee) 박희숙(Hee-Sook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645~66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신규위탁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의 위탁 지원 동기와 배경을 알아보고, 공공성 확보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여 신규위탁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교육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 H시 신규 국공립어린이집을 위탁한 원장 3명이다. 자료 수집은 총 3회기 심층 면담으로 수집하였으며, 신규위탁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의 경험에 대한 자료는 전사하여 반복적으로 읽은 후 의미 있는 주제어로 추출하고 질적으로 분석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규위탁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의 위탁 지원 동기와 배경은 보육 정책의 변화와 민간어린이집 운영의 불안감으로 안정된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에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규위탁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의 임용 후 어린이집 운영의 공공성 저해 요인으로는 신규위탁 국공립어린이집의 체계적인 관리에 대한 고민과 교사 구인과 관리, 민원으로 해결하려는 부모에 대한 어려움과 유관기관 대응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국공립어린이집 운영의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신규위탁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이 어려워하는 공공성 저해 요인을 지속해서 조사하여 위탁을 위한 준비부터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시스템 마련과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신규위탁 원장들이 국공립어린이집을 처음 운영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원장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신임 원장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otivation and background for consignment support of new entrusted public child care center to support consignment, and to exploration of disturbance factors of publicness in the new entrusteded directors’s public child care centers management.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three directors who entrusted a new public child care center in H-si, Gyeonggi-do.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total of three sessions of in-depth interviews, data on the experi-ences of in the new entrusteded directors’s were transcribed, read repeatedly, extracted with meaningful key-words, and analyzed qualitatively to derive research result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 and background of the director of the new entrusted public child care center for fostering support was found to be support for entrustment to a stable public child care center due to changes in child care policy and anxiety about operating private daycare centers. Second, the directors of a newly entrusted public child care center found that the factors disturbance the publicness of run-ning the child care center after being appointed include concerns about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newly en-trusted public child care center, recruiting and managing teachers, difficulties for parents trying to resolve com-plaints, found that the factors disturbance the and difficulties responding to related organizations.
Conclusions In order to ensure the publicness of the management of public child care center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investigate the factors disturbance that the director of a newly entrusted public child care centers finds difficult, establish a system and training course to provide systematic support from new entrustment. A edu-cation program for new directors should be develop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that new directors face when running a public child care center for the first time and to solve the problems that directors fa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0호 목차
- 중등교사 역량 및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초임교사의 인식 연구
- 간호대학생의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활용 역량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자 주도성(Student Agency)을 기반한 창의적 문제해결수업에 참여한 대학생의 학습자 주도성의 발달과정과 미래창의융합역량함양에 관한 혼합연구
- 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편성·운영·재구성을 제약하는 사항과 제약의 원인 연구
- 청소년기 한국문화 접촉 경험이 한국어 학습 지속 동기와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장애인운동선수이미지와 장애수용태도 및 사회성의 관계
- 대학 교양수업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 요인 분석
- 포디프레임을 활용한 오르골 제작과 창의적 활동을 포함한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 인지행동치료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자연 친화적 교수 태도와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의 요인 연구
- 차세대 자격증 제도 탐색을 통한 우리나라 고교 학점 운영 및 졸업 제도의 방향성 탐색 연구
- 예비 영유아교사의 모의수업 불안에 관한 연구
- 위기의 시대 공생과 어울림의 교육철학
- 장애·비장애학생 그리고 느린학습자의 통합과 소통을 위한 찾아가는 버스킹(퓨전 합창) 사례연구
- 초등학생용 수행형 디지털 리터러시 온라인 평가도구 개발
- 신규위탁 원장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에서의 공공성 저해 요인 탐색
- 유치원 교사의 놀이전문성과 놀이지원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
- 지역사회 문제 해결형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디지털 리빙랩의 활용 방안 연구
- 조절초점과 진로 변인의 상관관계에 관한 동향 연구와 메타분석
- 이야기 만들고 공유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경험 탐색
-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임상수행능력, 학업 스트레스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의과대학생이 평가한 자신과 동료 학생의 학습윤리의식 분석
- 청소년의 인공지능 및 디지털 윤리 문제와 교육방안 고찰
- 비대면 화상 집단상담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ImageTale 앱을 활용한 구조화 집단상담 참여 경험
- 영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효능감, 교사전문성의 관계 및 경력에 따른 비교
-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정서조절 및 사회성 향상을 위한 ETC 기반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의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 경험과 교육적 의미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방어기제유형의 매개효과
- 중국 특수교사의 전문성 자질 인식
- 2022 개정 통합사회 교육과정 및 문항 분석을 통한 역사 영역 적용 검토와 개선 방안
- The Influence of Social Context on EFL Learners’ Identity Construction: A Case Study of Three College Students in Jeju
- 병리적 자기애와 관계중독의 관계
- 응급실 신규간호사의 응급간호 역량별 교육 요구도 분석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실습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의 관계
- 베트남 대학 한국어 전공 학습자의 기계번역 포스트에디팅 양상 연구
-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본 교사-부모 관계에 관한 영유아교사의 경험
- 초등교사의 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특성 탐색
- 성별에 따른 미혼 청년의 결혼의향 요인 연구
- 간호대학생이 인식한 남자간호사 이미지 유형 분석
- 마을교육 생태계 조성을 위한 서울시 초·중등 마을결합형학교 운영사례 분석 및 함의
- 디지털 헬스 프로그램이 국내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유용성 인식 및 교수효능감과 상호작용 실행과의 관계
- 한국 청소년의 문화·예술경험과 정의적 성취
-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생성형 AI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의 교수학습 프레임워크 개발
-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시기별 과목군별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 환경도서를 활용한 초등학교 기후정의 교육 내용 요소 구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