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자연 친화적 교수 태도와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의 요인 연구

이용수 22

영문명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nature-friendly teaching attitude and perception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고영자(Young Ja K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35~5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자연 친화적 교수 태도와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에 있는 유아교육과 재학생 290명을 대상으로 교육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에 관한 문항과 자연 친화적 교수 태도 및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변인들의 기초 통계값을 측정하고, 변인 간의 집단 간 차이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적 요인인 숲 관련 교과목 이수 경험이 있고, 개인적 요인으로 숲 관련 교육의 관심이 높고, 숲 관련 교육 실천 의지가 높은 집단이 자연 친화적 교수 태도 및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적 요인인 숲 관련 교과목 이수 경험과 숲 관련 교육의 관심도, 숲 관련 교육 실천 의지, 자연 친화적 교수 태도,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 간의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자연 친화적 교수 태도와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의 요인으로 숲 관련 교과목 이수 경험과 숲 교육 실천 의지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예비유아교사가 유아교육현장에서 자연 친화적 교수 태도와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을 높게 가지기 위해서는 양성과정에서 숲 관련 교과목을 이수하는 방법으로 사전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와 함께 자연 및 숲 교육을 위해서는 양성과정 단계에서부터 숲 관련 교과목 이수를 통해 교수 태도를 갖추고 긍정적인 인식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na-ture-friendly teaching attitude and perception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Method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90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sking questions about educational and personal factors, and their per-ception of nature-friendly teaching attitudes and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program. The basic statistical values of each variable were measured, inter-group differences and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were analyz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that has experience taking forest-related subjects, which is an educational factor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has a high interest in forest-related educa-tion as a personal factor, and has a high willingness to practice forest-related education, has a nature-friendly teaching attitude and a higher level of awareness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found to be high.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xperience of completing forest-related subjects, which is an educational factor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ir interest in forest-related education, their willingness to prac-tice forest-related education, their nature-friendly teaching attitude, and their awareness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completing forest-related subjects and willingness to practice forest education were factors in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nature-friendly teaching attitude and awareness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Conclusions This suggests that in order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have a nature-friendly teach-ing attitude and a high awareness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prior educa-tion is necessary by completing forest-related subjects during the training course. In order to educate children about nature and forest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it is necessary to have a teaching attitude and a positive perception by completing forest-related subjects from the training stag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영자(Young Ja Ko). (2024).예비유아교사의 자연 친화적 교수 태도와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의 요인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0), 35-51

MLA

고영자(Young Ja Ko). "예비유아교사의 자연 친화적 교수 태도와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의 요인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0(2024): 35-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