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편성·운영·재구성을 제약하는 사항과 제약의 원인 연구
이용수 180
- 영문명
- A study on the factors that restrict teachers' multicultural curriculum organization, operation, and reorganization and the causes of such restriction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재창(Jaechang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277~30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등학교 교사들이 다문화교육과정을 편성·운영·재구성하는 가운데 겪는 제약사항들의 종류와 그 원인을 조사하는 것이다. 교사의 학교급, 다문화교육과정 관련 접근법, 관련 전문성 신장 기회, 그리고 실행 수준에 따른 제약사항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제약사항들이 발생하는 원인을 질적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방법 첫 번째와 두 번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이론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설문조사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후 초·중·고교 교사 3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세 번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명4, 중학교 교사 3명, 고등학교 교사 4명을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를 실시하여 설문조사 결과의 원인을 각각 살펴보았다.
결과 첫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모든 학교급에서 타문화를 한국식으로 한정짓는 제약을 겪었다는 응답이 가장 높은 비율로 조사되었다. 이 가운데 중학교 교사는 학교교육과정 지침, 고등학교 교사는 교육청의 지시로 인한 제약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기여적 접근법을 활용하는 교사는 교육청의 지시, 부가적 접근법을 활용하는 교사는 타문화를 한국식으로 한정한다는 점과 국가수준 교육과정 지침, 사회적 운동 접근법을 활용하는 교사는 부장교사의 지시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다문화교육 경력과 관련 업무담당경력은 교육지원청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다문화교육과정 연수이수시간과 타문화를 한국식으로 한정하는 제약이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세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제약하는 사항들은 각기 학교 구조적, 맥락적 원인에서 비롯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첫째, 다문화교육과정에 특화된 연수를 제공하되,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보다 유익한 연수가 될 수 있도록 실제적인 내용, 실천 사례, 교수학습자료, 체험 활동 지원을 함께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둘째, 다문화교육과정을 학교교육 평가계획에도 반영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causes of constraints th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experience while organizing, operating, and restructuring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This study investigated trends of the constraints depending on each teacher’s approach to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the opportunity to develop expertise, and the level of practice. this research analyzed the causes of major constraints by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Questions to be surveyed were developed based on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prior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Afterward, a survey was conducted on 316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for analysis. And then Writte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teachers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survey results.
Results Regarding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e highest rate of responses was that all schools experienced re-strictions that limited other cultures to Korean style. And restriction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chool level. Regarding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And restriction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eacher’s approach to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and related work experi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ducation Support Office's guideline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raining time of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and the restriction that limited other cultures to the Korean style. About the third research question, it was examined that the constraints stemmed from school structural and contextual causes, respectively.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training specialized in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but provide incentives for teachers to actively participate and provide practical content, practice case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o make the training more beneficial.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an institutional de-vice that can reflect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in the school education evaluation plan is need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0호 목차
- 중등교사 역량 및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초임교사의 인식 연구
- 간호대학생의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활용 역량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자 주도성(Student Agency)을 기반한 창의적 문제해결수업에 참여한 대학생의 학습자 주도성의 발달과정과 미래창의융합역량함양에 관한 혼합연구
- 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편성·운영·재구성을 제약하는 사항과 제약의 원인 연구
- 청소년기 한국문화 접촉 경험이 한국어 학습 지속 동기와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장애인운동선수이미지와 장애수용태도 및 사회성의 관계
- 대학 교양수업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 요인 분석
- 포디프레임을 활용한 오르골 제작과 창의적 활동을 포함한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 인지행동치료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자연 친화적 교수 태도와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의 요인 연구
- 차세대 자격증 제도 탐색을 통한 우리나라 고교 학점 운영 및 졸업 제도의 방향성 탐색 연구
- 예비 영유아교사의 모의수업 불안에 관한 연구
- 위기의 시대 공생과 어울림의 교육철학
- 장애·비장애학생 그리고 느린학습자의 통합과 소통을 위한 찾아가는 버스킹(퓨전 합창) 사례연구
- 초등학생용 수행형 디지털 리터러시 온라인 평가도구 개발
- 신규위탁 원장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에서의 공공성 저해 요인 탐색
- 유치원 교사의 놀이전문성과 놀이지원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
- 지역사회 문제 해결형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디지털 리빙랩의 활용 방안 연구
- 조절초점과 진로 변인의 상관관계에 관한 동향 연구와 메타분석
- 이야기 만들고 공유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경험 탐색
-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임상수행능력, 학업 스트레스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의과대학생이 평가한 자신과 동료 학생의 학습윤리의식 분석
- 청소년의 인공지능 및 디지털 윤리 문제와 교육방안 고찰
- 비대면 화상 집단상담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ImageTale 앱을 활용한 구조화 집단상담 참여 경험
- 영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효능감, 교사전문성의 관계 및 경력에 따른 비교
-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정서조절 및 사회성 향상을 위한 ETC 기반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의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 경험과 교육적 의미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방어기제유형의 매개효과
- 중국 특수교사의 전문성 자질 인식
- 2022 개정 통합사회 교육과정 및 문항 분석을 통한 역사 영역 적용 검토와 개선 방안
- The Influence of Social Context on EFL Learners’ Identity Construction: A Case Study of Three College Students in Jeju
- 병리적 자기애와 관계중독의 관계
- 응급실 신규간호사의 응급간호 역량별 교육 요구도 분석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실습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의 관계
- 베트남 대학 한국어 전공 학습자의 기계번역 포스트에디팅 양상 연구
-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본 교사-부모 관계에 관한 영유아교사의 경험
- 초등교사의 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특성 탐색
- 성별에 따른 미혼 청년의 결혼의향 요인 연구
- 간호대학생이 인식한 남자간호사 이미지 유형 분석
- 마을교육 생태계 조성을 위한 서울시 초·중등 마을결합형학교 운영사례 분석 및 함의
- 디지털 헬스 프로그램이 국내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유용성 인식 및 교수효능감과 상호작용 실행과의 관계
- 한국 청소년의 문화·예술경험과 정의적 성취
-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생성형 AI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의 교수학습 프레임워크 개발
-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시기별 과목군별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 환경도서를 활용한 초등학교 기후정의 교육 내용 요소 구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