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의 관계

이용수 22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c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moderated by marit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은실(Eunsil Lee) 이이슬(Leeseul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491~50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의 관계를 정서인식명확성이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부부의사소통만족도가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기혼남녀 24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자기분화, 정서인식명확성, 부부의사소통만족도, 결혼만족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SPSS Macro PROCESS 및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PROCESS 4번 모형을 수행하고, 조절된 매개효과를 PROCESS 14번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둘째, 정서인식명확성과 결혼만족도의 관계를 부부의사소통만족도가 조절하였다. 셋째,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가 부부의사소통만족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상담 현장에서 낮은 자기분화로 인해 낮은 결혼만족도를 호소하는 내담자에게 정서인식명확성 혹은 부부의사소통만족도를 포함한 개입을 실시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to verify whether couple communication satisfaction modulates this me-diating effect. Methods For this purpose, 249 adults were measured through self-report surveys for self differentiation, marital satisfaction,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and couple communication satisfaction. Result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uple communication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and marital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couple communication satisfaction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intervention on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and couple commu-nication satisfaction in counseling settings when clients complain of low marital satisfaction due to self differenti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실(Eunsil Lee),이이슬(Leeseul Lee). (2024).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0), 491-505

MLA

이은실(Eunsil Lee),이이슬(Leeseul Lee).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0(2024): 491-5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