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생용 수행형 디지털 리터러시 온라인 평가도구 개발

이용수 42

영문명
Development of a Performance-based Digital Literacy Online Assessment Tool for Primary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차현진(Hyunjin Cha) 김혜숙(Hyesook Kim) 한나라(Nara Ha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459~473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온라인 평가도구를 수행형 기반으로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실제로 접하는 학교, 가정, 지역사회 맥락을 반영한 시나리오 기반으로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고, 여러 하위 과제가 연결된 하나의 통합된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는 형태로 온라인 수행형 평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 도구는 4개 평가 모듈 안에 총 28개의 하위 과제로 구성되었다. 개발한 온라인 평가도구를 검증하기 위해 초등학생 462명을 대상으로 예비 검사를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예비검사 분석 결과, 검사 신뢰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 선다형 평가도구와의 상관 분석 결과, 수행형 온라인 평가도구로서 기존의 평가도구와 변별되는 특성을 보였다. 또한 문항 분석 결과, 일부 문항을 제외하고 전반적인 변별도와 난이도는 적절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자기보고식 혹은 지식기반 선다형 평가에서 나아가 수행형 온라인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예비검사 결과를 통해 향후 수행형 디지털 리터러시 온라인 평가도구를 적용하여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측정을 위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erformance-based online assessment tool to measure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of primary school students. Methods To achieve this, test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several scenarios that reflected the context of schools, families, and communities that primary school students encounter in their daily lives, and an online as-sessment system was developed in the form of several sub-tasks being connected to perform one integrated task. The developed assessment tool consisted of 4 test modules and a total of 28 sub-task items. A preliminary test was conducted on 462 primary school student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online as-sessment system.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liminary test results, the test reliability was found to be goo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multiple-choice assessment tool, it was found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exist-ing tool as a performance-based assessment tool. In addition, as a result of item analysis, the overall discrim-ination and difficulty level was found to be at an appropriate level except for a few items.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a performance-based online assessment tool beyond self-reporting or knowledge-based multiple-choice assessment, and provided primary data for future research on measuring students’ digital literacy level using a performance-based online assessment tool based on the pre-liminary test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현진(Hyunjin Cha),김혜숙(Hyesook Kim),한나라(Nara Han). (2024).초등학생용 수행형 디지털 리터러시 온라인 평가도구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0), 459-473

MLA

차현진(Hyunjin Cha),김혜숙(Hyesook Kim),한나라(Nara Han). "초등학생용 수행형 디지털 리터러시 온라인 평가도구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0(2024): 459-4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