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응급실 신규간호사의 응급간호 역량별 교육 요구도 분석

이용수 56

영문명
Analysis by Educational Needs for Reinforcing Emergency Nursing Competency of New nurses in Emergency roo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미리(Mi Ri PARK) 장승경(Seung Gyeong JA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675~68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응급실 신규간호사의 응급간호 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도 및 우선순위를 확인함으로써 응급실 신규간호사의 응급간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안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로 사용되고자 하였다. 방법 부산, 경남 소재 26개 기관의 권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경력 1년 미만의 응급실 신규간호사 110명을 대상으로 2023년 6월 15일부터 7월 31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을 하였다(회수율 88.2%).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대응표본 t검정, Borich 요구도 공식,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결과를 종합하여 교육 요구의 최우선 순위 및 차우선 순위를 도출하였다. 연구 도구는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문항9,응 급간호 역량에 대한 요구수준 3문4항 및 현재수행능력 34문항으로 총 7문7항이다. 결과 첫째, 응급간호역량에 대한 응급실 신규간호사의 현재수행능력과 요구수준의 차이 분석 결과 34개의 항목 중 26개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종합한 결과 응급실 신규간호사의 응급간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요구도로 34가지 중 4가지 항목(심혈관 환자 상태 악화의 임상 지표, 발작 관리, 신경계 환자 상태 악화의 임상 지표, 인공호흡기 관리)이 최우선 순위로 도출되었으며, 10가지 항목(응급상황시 약물 투여량 계산, 기본 심장 생리학에 대한 지식, 비정상적인 심전도 판독, ABCDE 평가, ABLS, 수동 제세동기, 심폐소생술 중 투여되는 약물, 기본 신경 생리학에 대한 지식, 체외-심실 배수관 관리, 호흡기 환자상태 악화의 임상지표)이 차우선 순위로 도출되었다. 결론 응급실 신규간호사의 응급간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최우선 순위 항목을 중심으로 한 교육에 대한 전략 개발 및 차우선 순위 항목을 중심으로 한 장기적인 교육 개발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ducation needs and priorities for emergency nursing competencies of newly employed emergency room nurses, with the aim of using the findings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lan to enhance the emergency nursing competencies of newly employed emergency room nurses. Methods This study is descriptive survey research. Subjects were new nurses in emergency room working at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local emergency medical centers and local emergency medical service in-stitutions at 26 institutions, and 110 people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une 15 to July 31, 2023,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hrough a QR code, and a total of 97 copi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88.2% collection rate). As a research tool,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and consisted of a total of 77 questions, including 9 general characteristics, 34 required competency level for emergency nursing competency, 34 perceived competency level for emergency nursing competenc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paired t-test, Borich's needs asse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priority items from Borich's formula for demand and the items in quadrant 1 of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examined to determine any redundancy and to establish the priority order of educational needs, distinguishing between top priority and secondary priority. Results The educational needs for reinforcing emergency nursing competencies of newly employed emergency room nurses revealed four top priority items out of 34 (Clinical indicators of deterioration in cardiovascular patient status, Seizure management, Ventilator management, Clinical indicators of deterioration in neurological patient status). Additionally, ten secondary priority items were identified. Conclusions This study identified four top priority items by analyzing the ranking of educational needs to strength-en the emergency nursing competency of new nurses in the emergency room.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for education on top priority items and long-term education on second priority items in order to strengthen the emergency nursing competency of new nurses in emergency roo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미리(Mi Ri PARK),장승경(Seung Gyeong JANG). (2024).응급실 신규간호사의 응급간호 역량별 교육 요구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0), 675-687

MLA

박미리(Mi Ri PARK),장승경(Seung Gyeong JANG). "응급실 신규간호사의 응급간호 역량별 교육 요구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0(2024): 675-6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