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병리적 자기애와 관계중독의 관계

이용수 40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Pathological Narcissism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e Mediation Effects of Distress Tolerance and Emptines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소연(Soyeon Park) 장유진(Yoojin Ja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597~61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병리적 자기애와 관계중독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관계를 고통감내력과 공허감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 확인하는 데 있었다. 방법 이를 위해 전문 설문조사 기관을 통해 전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3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0.0와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고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간접 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병리적 자기애, 관계중독, 고통감내력, 공허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병리적 자기애와 관계중독, 공허감은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 고통감내력은 모든 변인과 유의한 부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병리적 자기애와 관계중독의 관계를 고통감내력과 공허감이 각각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병리적 자기애와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공허감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병리적 자기애 성향이 높을수록 고통감내력이 낮아 공허감을 더 잘 느끼게 되고, 그로 인해 관계중독에 빠지기 쉽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병리적 자기애로 인해 관계중독의 문제를 겪는 내담자들을 대상으로 어떤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thological narcissism and re-lationship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and to look at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distress tolerance and emptiness. Methods For this study, 330 data were analyzed by surveying university students nationwide through a pro-fessional survey institu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0.0 and the SPSS PROCESS Macro for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mong variables. Additionally, the dual mediation effect was examin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s was verified using boot-strapping method. Results First, the results show that pathological narcissism, relationship addiction, and emptiness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and distress tolera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ll variables. Second, distress tolerance and emptines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thological narcissism and relation-ship addiction, respectively. Thir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emptiness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hological narcissism and relationship addic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igher the pathological narcissism, the lower the distress tolerance, the better the feeling of emptiness, and thus, the more likely it is to fall into relationship addiction. Therefore, it provides information on what interventions can be effective for clients who suffer from relationship addiction problems due to pathological narcissis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소연(Soyeon Park),장유진(Yoojin Jang). (2024).병리적 자기애와 관계중독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0), 597-613

MLA

박소연(Soyeon Park),장유진(Yoojin Jang). "병리적 자기애와 관계중독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0(2024): 597-6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