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방어기제유형의 매개효과
이용수 236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Defense Mechanism Style in the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Internalized Shame and Displaced Aggress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빛나(Bit Na Lee) 강진령(Jin-ryung K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441~45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방어기제유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방법 서울시 소재 4년제 대학교 3곳에서 재학 중인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대인면접 조사를 실시하여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그 중 유학생 7부와 불성실하게 응답한 6부를 제외한 총 287부를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3단계 중다회귀분석과 Sobel-test를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전위 공격성, 방어기제유형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미성숙한 방어기제유형의 완전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억제적 방어기제유형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전위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내면화된 수치심을 가진 대학생이 일상에서 내적 갈등을 처리하기 위해 어떠한 방어기제유형을 사용하는가에 따라 전위공격성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미성숙한 방어기제유형이 완전매개하고 있기 때문에 대학생의 전위공격성을 낮추기 위해 상담 장면에서 내담자의 방어기제유형을 사전에 파악하고 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치료적 개입을 시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efense mechanism style on the relationship beꠓtween internalized shame and displaced aggression.
Method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in order to measure internalized shame, displaced ag-gression and defense mechanism style,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3 different universities in Seoul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to April 2019.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all of them were retrieved. As a total, 287 samples excluding 7 non-Korean participants (international students) and 6 participants who responded incompletel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For statistical analysis, a regression analysis and a three-stag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order to establish the correlation among internalized shame, displaced aggression, and defense mechanism style. Finally, we conducted a Baron and Kenny’s three-stag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1986)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defense mechanism style.
Results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s have been identified among university students' internalized shame, dis-placed aggression, and defense mechanism style. Second, There were both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im-mature defense mechanism style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defense mechanism sty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internalized shame and displaced aggression.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 students who display displaced aggression, the manner in which they used this psychological mechanism to handle internal conflicts in daily lif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internal displaced aggression variabl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s that examining and under-standing the defense mechanism of counselees must precede specific counseling in order to mitigate university students’ displaced aggress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0호 목차
- 중등교사 역량 및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초임교사의 인식 연구
- 간호대학생의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활용 역량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자 주도성(Student Agency)을 기반한 창의적 문제해결수업에 참여한 대학생의 학습자 주도성의 발달과정과 미래창의융합역량함양에 관한 혼합연구
- 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편성·운영·재구성을 제약하는 사항과 제약의 원인 연구
- 청소년기 한국문화 접촉 경험이 한국어 학습 지속 동기와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장애인운동선수이미지와 장애수용태도 및 사회성의 관계
- 대학 교양수업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 요인 분석
- 포디프레임을 활용한 오르골 제작과 창의적 활동을 포함한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 인지행동치료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자연 친화적 교수 태도와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의 요인 연구
- 차세대 자격증 제도 탐색을 통한 우리나라 고교 학점 운영 및 졸업 제도의 방향성 탐색 연구
- 예비 영유아교사의 모의수업 불안에 관한 연구
- 위기의 시대 공생과 어울림의 교육철학
- 장애·비장애학생 그리고 느린학습자의 통합과 소통을 위한 찾아가는 버스킹(퓨전 합창) 사례연구
- 초등학생용 수행형 디지털 리터러시 온라인 평가도구 개발
- 신규위탁 원장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에서의 공공성 저해 요인 탐색
- 유치원 교사의 놀이전문성과 놀이지원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
- 지역사회 문제 해결형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디지털 리빙랩의 활용 방안 연구
- 조절초점과 진로 변인의 상관관계에 관한 동향 연구와 메타분석
- 이야기 만들고 공유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경험 탐색
-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임상수행능력, 학업 스트레스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의과대학생이 평가한 자신과 동료 학생의 학습윤리의식 분석
- 청소년의 인공지능 및 디지털 윤리 문제와 교육방안 고찰
- 비대면 화상 집단상담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ImageTale 앱을 활용한 구조화 집단상담 참여 경험
- 영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효능감, 교사전문성의 관계 및 경력에 따른 비교
-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정서조절 및 사회성 향상을 위한 ETC 기반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의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 경험과 교육적 의미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방어기제유형의 매개효과
- 중국 특수교사의 전문성 자질 인식
- 2022 개정 통합사회 교육과정 및 문항 분석을 통한 역사 영역 적용 검토와 개선 방안
- The Influence of Social Context on EFL Learners’ Identity Construction: A Case Study of Three College Students in Jeju
- 병리적 자기애와 관계중독의 관계
- 응급실 신규간호사의 응급간호 역량별 교육 요구도 분석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실습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의 관계
- 베트남 대학 한국어 전공 학습자의 기계번역 포스트에디팅 양상 연구
-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본 교사-부모 관계에 관한 영유아교사의 경험
- 초등교사의 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특성 탐색
- 성별에 따른 미혼 청년의 결혼의향 요인 연구
- 간호대학생이 인식한 남자간호사 이미지 유형 분석
- 마을교육 생태계 조성을 위한 서울시 초·중등 마을결합형학교 운영사례 분석 및 함의
- 디지털 헬스 프로그램이 국내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유용성 인식 및 교수효능감과 상호작용 실행과의 관계
- 한국 청소년의 문화·예술경험과 정의적 성취
-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생성형 AI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의 교수학습 프레임워크 개발
-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시기별 과목군별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 환경도서를 활용한 초등학교 기후정의 교육 내용 요소 구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