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방어기제유형의 매개효과

이용수 46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Defense Mechanism Style in the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Internalized Shame and Displaced Aggress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빛나(Bit Na Lee) 강진령(Jin-ryung Ka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441~45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방어기제유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방법 서울시 소재 4년제 대학교 3곳에서 재학 중인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대인면접 조사를 실시하여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그 중 유학생 7부와 불성실하게 응답한 6부를 제외한 총 287부를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3단계 중다회귀분석과 Sobel-test를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전위 공격성, 방어기제유형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미성숙한 방어기제유형의 완전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억제적 방어기제유형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전위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내면화된 수치심을 가진 대학생이 일상에서 내적 갈등을 처리하기 위해 어떠한 방어기제유형을 사용하는가에 따라 전위공격성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미성숙한 방어기제유형이 완전매개하고 있기 때문에 대학생의 전위공격성을 낮추기 위해 상담 장면에서 내담자의 방어기제유형을 사전에 파악하고 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치료적 개입을 시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efense mechanism style on the relationship beꠓtween internalized shame and displaced aggression. Method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in order to measure internalized shame, displaced ag-gression and defense mechanism style,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3 different universities in Seoul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to April 2019.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all of them were retrieved. As a total, 287 samples excluding 7 non-Korean participants (international students) and 6 participants who responded incompletel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For statistical analysis, a regression analysis and a three-stag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order to establish the correlation among internalized shame, displaced aggression, and defense mechanism style. Finally, we conducted a Baron and Kenny’s three-stag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1986)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defense mechanism style. Results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s have been identified among university students' internalized shame, dis-placed aggression, and defense mechanism style. Second, There were both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im-mature defense mechanism style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defense mechanism sty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internalized shame and displaced aggression.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 students who display displaced aggression, the manner in which they used this psychological mechanism to handle internal conflicts in daily lif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internal displaced aggression variabl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s that examining and under-standing the defense mechanism of counselees must precede specific counseling in order to mitigate university students’ displaced aggress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빛나(Bit Na Lee),강진령(Jin-ryung Kang). (2024).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방어기제유형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0), 441-457

MLA

이빛나(Bit Na Lee),강진령(Jin-ryung Kang).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방어기제유형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0(2024): 441-4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