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이 인식한 남자간호사 이미지 유형 분석

이용수 60

영문명
The Perception of Male nurse image in Nursing students : Q methodological approach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윤성(Yunsung Choi) 권혜림(Hyelim Kwon) 양수현(Suhyeon Yang) 서영은(Youngeun Seo) 안정은(Jeongeun An) 이효진(Hyojin Lee) 심진(Jin Sim) 이다인(Dain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53~66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Q 방법론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남자간호사 이미지에 대한 유형을 확인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방법 Q 방법론의 첫 번째 단계인 Q 모집단은 간호대학생의 서면 인터뷰 내용과 남자간호사 이미지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문헌고찰한 결과를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이후 의미있는 진술문끼리 묶는 범주화 과정을 거쳐 전문가 1인의 자문을 바탕으로 최종 34개의 Q 표본을 도출하였다. Q 표본 진술문을 50명의 P 표본에게 9점 척도 상에 정규분포표에 강제분류하는 Q 원리에 의해 분류하도록 하였고, 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pc-QUANL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간호대학생의 남자간호사 이미지에 대한 인식은 총 4개의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제 1유형은 간호사가 여성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난 전통적 성 역할 탈피형‘’으로 나타났고 제 유형은 , 기존2의 간호사 이미지와 남자 간호사 이미지는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는 성 역할 인식 고착형‘’으로 나타났으며 제 유형은, 차3츰 남자간호사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우호형’,제 유형은 남자간호사의 이미지가 사회적인 인식에 따라 영향을 받는 4‘사회적 이미지 영향형 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남자간호사의 간호사 이미지를 높이는 전략을 개발하는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간호실무에는 이러한 전략의 실천을 통해 남자간호사의 간호사 이미지 향상을 도모하는 동시에 나아가 한국 간호의 위상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ype of male nurse image of nursing students recognized by nursing students by applying it through the Q methodology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Methods The Q population, the first step in the Q methodology,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contents of written interviews of nursing students and the results of a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image of male nurses. After that, the final 34 Q sampl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advice of one expert through a categorization process that ties meaningful statements. The Q sample statements were classified into 50 P samples that were forcibly classified into a normal distribution table on a 9-point scal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PC-QUANL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ere a total of four types of perceptions of male nurse image of nursing students. The first type was found to be ‘traditional sexual role breakaway type’, the second type was ‘sex role recognition fixed type’, the third type was ‘transitional friendly type’, and the fourth type was ‘social image influ-ence type’. Conclus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useful basic data to differentially develop strategies to enhance the nurse image of male nurses in the future. In nursing practice,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se strategies, it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nurse image of male nurses and further enhancing the status of Korean nurs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윤성(Yunsung Choi),권혜림(Hyelim Kwon),양수현(Suhyeon Yang),서영은(Youngeun Seo),안정은(Jeongeun An),이효진(Hyojin Lee),심진(Jin Sim),이다인(Dain Lee). (2024).간호대학생이 인식한 남자간호사 이미지 유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0), 53-66

MLA

최윤성(Yunsung Choi),권혜림(Hyelim Kwon),양수현(Suhyeon Yang),서영은(Youngeun Seo),안정은(Jeongeun An),이효진(Hyojin Lee),심진(Jin Sim),이다인(Dain Lee). "간호대학생이 인식한 남자간호사 이미지 유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0(2024): 53-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