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등교사 역량 및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초임교사의 인식 연구

이용수 77

영문명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econdary Teacher Competency and Secondary Teacher Training Curriculu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한은정(Eunjung Han) 정혜주(Hyejoo J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721~74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최근 교원 양성 교육기관의 혁신 논의에서 체제 개편에 관한 논의는 활발한 반면, 구체적인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이에, 최근의 교원 양성 교육과정을 경험한 초임교사들이 생각하는 중등교사의 역량과 그들이 경험한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특징과 문제점, 개선방안을 살펴보고, 이것이 향후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경력 5년 이하의 초임교사 9명을 대상으로 하여, 교사에게 필요한 역량, 교원 양성 교육과정(전공/교직/교생실습)의 특징, 문제점, 개선과제 등에 대해 온라인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결과는 테마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개방코딩, 하위주제 도출, 상위주제 확정의 절차로 주요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초임교사가 인식하는 중등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으로는 의사소통 역량, 관계 맺기 역량, 인간 심리와 삶에 대한 통찰, 지속적인 전문성 계발 역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들이 경험한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특징으로는 1) 이론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 2) 수업 실연 및 선배 멘토링, 생활지도 및 상담 과목 운영 등의 현장성 강화를 위한 노력, 3) 실제 수업을 해 볼 수 있는 값진 시간“”으로서의 교생실습, 협업 4)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발표 토의, 팀 , 과제 중심의 수업 운영,교 5) 사로서의 가치관 형성을 기초로 한 체계적 교육과정 운영 등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이러한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는 1) 실용적이지 못한 교육과정, 2) 담당 교수나 실습지도 교사의 개인 차에 따른 교육과정의 질, 3) 수업 기회와 실무 경험이 부족한 “이벤트성” 교생실습의 한계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으로는 1) 예비교원의 성장 과정에 따른 교육과정 재구조화, 2) 교사 초빙, 실무실습 강화 등을 통한 학교교육에의 현장성 강화, 3) 융합형 교육과정 운영, 4) 교생실습 체계화, 교육봉사 내실화, 지도교사 업무 경감 등을 통한 교생실습 개선 등을 제안하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점을 시사한다. 첫째, 초임교사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의사소통 역량과 관계 맺기 역량은 이들이 의사소통과 관계 맺기 측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둘째, 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 그간 이론 중심의 교육과정이 제기되어 왔으나, 학교 현장 전문성의 토대로서 이론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이론과 균형을 이루는 현장 중심의 교육과정 으로의 전환을 고민하여야 한다’.셋째 전통적인 교원 , 양성 교육과정의 큰 틀은 유지한 채 일부 교과목의 추가만으로 예비교원들의 실질적인 역량이 함양되기는 어려우므로, 무엇을‘’이 아닌 어떻게‘’ 가르침으로써 역량을 키울 것인지에 초점을 둔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mpetencie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by novice teachers an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tasks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y experienced. Through these results, we tri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Methods We conducted individual online interviews with nine novice teachers who have less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e data obtained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open coding, sub-topic derivation, and higher-topic determination using thematic analysis methods.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teachers recognized by novice teachers were communication skills, relationship-building skills, insight into human psychology and life, and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capabilities. Second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were theory-centered curriculum operation, efforts to strengthen practicality, student practice as a “valuable time”, presentation, discussion, team task-oriented operation, and systematic curriculum operation based on the formation of values as teachers.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problems of this schoo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were an impractical curriculum, variations in the quality of the curriculum based on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the professors or training instructors in charge, and the limitations of “eventuality” in student practice that lacked teaching opportunities and practical experience. Finally, it was proposed to improve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by restructuring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growth process of pre-service teachers, strengthening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by inviting teachers and enhancing practical practice, operating a convergence curriculum, and enhancing student practice by systematizing it, strengthening educational services, and reducing supervisor work.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e following points. Firstly, the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skills that novice teachers perceive as important competencies prove the fact that they are having difficulty communicating and establishing relationship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ransitioning to a curriculum that balances theory with a field-oriented approach. Finally, a paradigm shift is needed to focus on enhancing competencies through effective teaching method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은정(Eunjung Han),정혜주(Hyejoo Jung). (2024).중등교사 역량 및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초임교사의 인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0), 721-741

MLA

한은정(Eunjung Han),정혜주(Hyejoo Jung). "중등교사 역량 및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초임교사의 인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0(2024): 721-7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