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등교사 역량 및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초임교사의 인식 연구
이용수 324
-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econdary Teacher Competency and Secondary Teacher Training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한은정(Eunjung Han) 정혜주(Hyejoo J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721~74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최근 교원 양성 교육기관의 혁신 논의에서 체제 개편에 관한 논의는 활발한 반면, 구체적인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이에, 최근의 교원 양성 교육과정을 경험한 초임교사들이 생각하는 중등교사의 역량과 그들이 경험한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특징과 문제점, 개선방안을 살펴보고, 이것이 향후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경력 5년 이하의 초임교사 9명을 대상으로 하여, 교사에게 필요한 역량, 교원 양성 교육과정(전공/교직/교생실습)의 특징, 문제점, 개선과제 등에 대해 온라인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결과는 테마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개방코딩, 하위주제 도출, 상위주제 확정의 절차로 주요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초임교사가 인식하는 중등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으로는 의사소통 역량, 관계 맺기 역량, 인간 심리와 삶에 대한 통찰, 지속적인 전문성 계발 역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들이 경험한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특징으로는 1) 이론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 2) 수업 실연 및 선배 멘토링, 생활지도 및 상담 과목 운영 등의 현장성 강화를 위한 노력, 3) 실제 수업을 해 볼 수 있는 값진 시간“”으로서의 교생실습, 협업 4)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발표 토의, 팀 , 과제 중심의 수업 운영,교 5) 사로서의 가치관 형성을 기초로 한 체계적 교육과정 운영 등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이러한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는 1) 실용적이지 못한 교육과정, 2) 담당 교수나 실습지도 교사의 개인 차에 따른 교육과정의 질, 3) 수업 기회와 실무 경험이 부족한 “이벤트성” 교생실습의 한계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으로는 1) 예비교원의 성장 과정에 따른 교육과정 재구조화, 2) 교사 초빙, 실무실습 강화 등을 통한 학교교육에의 현장성 강화, 3) 융합형 교육과정 운영, 4) 교생실습 체계화, 교육봉사 내실화, 지도교사 업무 경감 등을 통한 교생실습 개선 등을 제안하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점을 시사한다. 첫째, 초임교사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의사소통 역량과 관계 맺기 역량은 이들이 의사소통과 관계 맺기 측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둘째, 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 그간 이론 중심의 교육과정이 제기되어 왔으나, 학교 현장 전문성의 토대로서 이론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이론과 균형을 이루는 현장 중심의 교육과정 으로의 전환을 고민하여야 한다’.셋째 전통적인 교원 , 양성 교육과정의 큰 틀은 유지한 채 일부 교과목의 추가만으로 예비교원들의 실질적인 역량이 함양되기는 어려우므로, 무엇을‘’이 아닌 어떻게‘’ 가르침으로써 역량을 키울 것인지에 초점을 둔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mpetencie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by novice teachers an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tasks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y experienced. Through these results, we tri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Methods We conducted individual online interviews with nine novice teachers who have less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e data obtained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open coding, sub-topic derivation, and higher-topic determination using thematic analysis methods.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teachers recognized by novice teachers were communication skills, relationship-building skills, insight into human psychology and life, and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capabilities. Second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were theory-centered curriculum operation, efforts to strengthen practicality, student practice as a “valuable time”, presentation, discussion, team task-oriented operation, and systematic curriculum operation based on the formation of values as teachers.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problems of this schoo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were an impractical curriculum, variations in the quality of the curriculum based on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the professors or training instructors in charge, and the limitations of “eventuality” in student practice that lacked teaching opportunities and practical experience. Finally, it was proposed to improve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by restructuring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growth process of pre-service teachers, strengthening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by inviting teachers and enhancing practical practice, operating a convergence curriculum, and enhancing student practice by systematizing it, strengthening educational services, and reducing supervisor work.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e following points. Firstly, the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skills that novice teachers perceive as important competencies prove the fact that they are having difficulty communicating and establishing relationship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ransitioning to a curriculum that balances theory with a field-oriented approach. Finally, a paradigm shift is needed to focus on enhancing competencies through effective teaching method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0호 목차
- 중등교사 역량 및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초임교사의 인식 연구
- 간호대학생의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활용 역량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자 주도성(Student Agency)을 기반한 창의적 문제해결수업에 참여한 대학생의 학습자 주도성의 발달과정과 미래창의융합역량함양에 관한 혼합연구
- 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편성·운영·재구성을 제약하는 사항과 제약의 원인 연구
- 청소년기 한국문화 접촉 경험이 한국어 학습 지속 동기와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장애인운동선수이미지와 장애수용태도 및 사회성의 관계
- 대학 교양수업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 요인 분석
- 포디프레임을 활용한 오르골 제작과 창의적 활동을 포함한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 인지행동치료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자연 친화적 교수 태도와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의 요인 연구
- 차세대 자격증 제도 탐색을 통한 우리나라 고교 학점 운영 및 졸업 제도의 방향성 탐색 연구
- 예비 영유아교사의 모의수업 불안에 관한 연구
- 위기의 시대 공생과 어울림의 교육철학
- 장애·비장애학생 그리고 느린학습자의 통합과 소통을 위한 찾아가는 버스킹(퓨전 합창) 사례연구
- 초등학생용 수행형 디지털 리터러시 온라인 평가도구 개발
- 신규위탁 원장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에서의 공공성 저해 요인 탐색
- 유치원 교사의 놀이전문성과 놀이지원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
- 지역사회 문제 해결형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디지털 리빙랩의 활용 방안 연구
- 조절초점과 진로 변인의 상관관계에 관한 동향 연구와 메타분석
- 이야기 만들고 공유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경험 탐색
-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임상수행능력, 학업 스트레스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의과대학생이 평가한 자신과 동료 학생의 학습윤리의식 분석
- 청소년의 인공지능 및 디지털 윤리 문제와 교육방안 고찰
- 비대면 화상 집단상담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ImageTale 앱을 활용한 구조화 집단상담 참여 경험
- 영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효능감, 교사전문성의 관계 및 경력에 따른 비교
-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정서조절 및 사회성 향상을 위한 ETC 기반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의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 경험과 교육적 의미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방어기제유형의 매개효과
- 중국 특수교사의 전문성 자질 인식
- 2022 개정 통합사회 교육과정 및 문항 분석을 통한 역사 영역 적용 검토와 개선 방안
- The Influence of Social Context on EFL Learners’ Identity Construction: A Case Study of Three College Students in Jeju
- 병리적 자기애와 관계중독의 관계
- 응급실 신규간호사의 응급간호 역량별 교육 요구도 분석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실습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의 관계
- 베트남 대학 한국어 전공 학습자의 기계번역 포스트에디팅 양상 연구
-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본 교사-부모 관계에 관한 영유아교사의 경험
- 초등교사의 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특성 탐색
- 성별에 따른 미혼 청년의 결혼의향 요인 연구
- 간호대학생이 인식한 남자간호사 이미지 유형 분석
- 마을교육 생태계 조성을 위한 서울시 초·중등 마을결합형학교 운영사례 분석 및 함의
- 디지털 헬스 프로그램이 국내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유용성 인식 및 교수효능감과 상호작용 실행과의 관계
- 한국 청소년의 문화·예술경험과 정의적 성취
-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생성형 AI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의 교수학습 프레임워크 개발
-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시기별 과목군별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 환경도서를 활용한 초등학교 기후정의 교육 내용 요소 구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