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청소년의 문화·예술경험과 정의적 성취

이용수 33

영문명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and Affective Achievements among Korean Adolesc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유희은(Heeeun Yoo) 유백산(Baeksan Yu)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847~85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지금까지 국내 몇몇 연구들이 문화 예술경험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아동··청소년들의 교육적 성취와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보고하였으나 특정 지역 및 집단만을 대상으로 한 상관관계 분석 수준의 연구들이었다. 이에 본고는 성별, 가정배경, 지역에 따른 청소년기 문화 예술경험 격차를 대표성 있게 수집된 자료를 통해 살펴보고, 문화··예술경험과 정의적 성취의 종단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확대되어가는 한국사회의 교육불평등 문제를 이해하고자 한다. 방법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 2018 중1패널(N=2,590)을 사용하여 청소년기 문화··예술경험과 행복감,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등과 같은 정의적 측면과의 종단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고정효과모형을 적용, 측정오차와 관측되지 않은 시간불변 혼동변수의 영향력을 통제하였으며 추가분석을 통해 결과의 강건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기술통계 분석결과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그리고 부모의 학력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문화·예술경험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문화·예술경험과 정의적 성취의 정적인 관계는 남학생에게서 두드러졌다. 구체적으로 남학생의 경우 작년 한 해 동안의 문화·예술경험과 현재의 삶의 만족도, 행복감, 자아존중감과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창의성 변수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서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는 사회계층에 따른 문화 예술경험 격차와 청소년들의 정의적 발달과 문화··예술경험의 종단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공교육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의 접근성을 제고하고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sparities in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among adolescents ac-cording to gender and family background. It seeks to clarify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and affective achievements, shedding light on the growing issue of educational inequality in Korean society. Methods Usi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Middle School Panel,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fixed effects were applied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and affective aspects such as happiness,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Result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female students and those with parents of higher educational and income levels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Meanwhile,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and affective achievements was more pronounced among male students. Specifically, for male students, the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during the past year and current life satisfaction, happiness, and self-este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creativity was positively significant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Conclusions The research findings demonstrate the gap in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among adolescents across social classes, an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s and adolescents' affective development. It supports the need for enhanced accessibility to cultural and art education through public educa-tion syste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희은(Heeeun Yoo),유백산(Baeksan Yu). (2024).한국 청소년의 문화·예술경험과 정의적 성취.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0), 847-859

MLA

유희은(Heeeun Yoo),유백산(Baeksan Yu). "한국 청소년의 문화·예술경험과 정의적 성취."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0(2024): 847-8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