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별에 따른 미혼 청년의 결혼의향 요인 연구

이용수 72

영문명
A Study on the Factors of Marriage Intention Among Unmarried Young People According to Gender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문송하(Song Ha Moon) 강태석(Tae Seog Ka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227~241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미혼 청년들의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남녀별로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18세에서 34세까지의 미혼 청년 1,691명(남 947명, 여 744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독립변인으로 개인특성, 부모요인, 직장요인, 정책요인, 종속변수로는 결혼의향을 선정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개인요인은 연령에서 남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연령이 낮을수록 결혼의향이 높았다). 둘째, 부모요인은 모의 학력에서 남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결혼의향이 높았다()셋째 직장요인에서는 .일, 자리 복지수준과 일에 대한 가치관이 여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일자리 복지수준이 낮을수록(,일에 대한 가치관이 높을수록 결혼의향이 높았다). 넷째, 정책요인에서는 훈련 진로정책과 출산··육아정책에서 남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훈련 진로정책·이 높을수록(,출 산·육아정책이 높을수록 결혼의향이 높았다). 결론 미혼 청년의 결혼의향에는 남녀별로 분명한 차이가 나타남으로써 결혼의향을 높일 수 있는 요인별로 맞춤형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미혼 청년 남녀별로 다양한 홍보활동과 프로그램 활성화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marriage intention of unmarried young people by gender. Methods For this purpose, 1,691 unmarried young people (947 men, 744 women) between the ages of 18 and 34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parental factors, workplace factors, and policy factor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Marriage intention was selected as the dependent variable. Result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First, personal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men in terms of age (the younger the age, the higher the intention to marry). Second, parental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other's education level only for men (the higher the mother's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 intention to marry). Third, as for workplace factors, job welfare level and work valu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women (job The lower the welfare level and the higher the value of work, the higher the intention to marry). Fourth, in terms of poli-cy factors, only me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raining/career policy and childbirth/childcare policy (the higher the training/career policy, the higher the childbirth/childcare policy, the higher the intention to marry). Conclusions As there is a clear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intention to marry among unmarried young people, customized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each factor that can increase the intention to marry. Through this,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carry out various promotional activities and activate programs for single young men and wome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송하(Song Ha Moon),강태석(Tae Seog Kang). (2024).성별에 따른 미혼 청년의 결혼의향 요인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0), 227-241

MLA

문송하(Song Ha Moon),강태석(Tae Seog Kang). "성별에 따른 미혼 청년의 결혼의향 요인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0(2024): 227-2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