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포디프레임을 활용한 오르골 제작과 창의적 활동을 포함한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이용수 38

영문명
Educational effects of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including music box production and creative activities using 4Dfram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영신(Youngshin Park) 박호걸(Hogul Park) 백성혜(Seoung-Hey Pai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423~43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포디프레임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오르골을 만들고 창작활동에 참여하는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조사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포디프레임을 활용한 오르골 제작과 창의적 활동을 포함하는 융합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중학생 명4, 초등학생 8명 등 총 1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4개 팀으로 나누어 수업을 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개 항목의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6.또한 질적 연구를 위하여 명의 연구자가 학생들의 3활동, 심층 인터뷰, 관찰 기록, 평가 회의 등을 포함한 영상 녹화 및 전사 내용을 독립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10차시로 구성된 융합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에게 투입하여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음악교육과 공학, 과학, 기술 활동을 연계한 융합교육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오르골 만들기의 즐거움, 과학적 탐구능력에 대한 자기평가, 창작 능력에 대한 인식, 음악 협주에 대한 선호도, 악보공부과 악기연주에 대한 도움, 음악 창작에 대한 욕구 등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확인되었다. 특히, 학생들이 악보를 읽으면서 피아노를 연주하는 전통적인 음악 수업과 달리, 포디프레임으로 오르골을 만들고,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는 창의적 활동을 통해 음악 연주에 대한 구체적이고 직관적인 이해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음악 관련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었다. 결론 교사는 학생들의 사고 과정을 자극하기 위해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경청하고, 학생들이 만들어낸 작품을 인정하고, 이러한 활동의 중요성을 탐구하기 위해 학생들과 협력하여 노력함으로써 교육적 성공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기술로 인해 작곡가, 연주자, 청취자의 역할을 동시에 맡는 것이 가능해졌다. 앞으로 교육에서 학생들이 음악에 참여하는 방식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교사들은 새로운 기술이 제공하는 기회를 활용하는 교수법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in which students make music boxes and participate in creative activities using 4Dframes. Methods For the purpose, we developed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at includes music box production and creative activities using 4Dframes. An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2 students, including 4 students of middle school, and 8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four teams and took classes, and a survey consisting of 6 items on a Likert scale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dditionally, for qualitative research, three researchers independently analyzed video recordings and transcriptions, including students' activities, in-depth interviews, observation records, and evaluation meetings. Results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consisting of a total of 10 sessions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students to confirm its educ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at links music education, engineering, science, and technology activities developed in this study, changes in perception regard-ing students' enjoyment of music box making, self-evaluation of scientific inquiry ability, awareness of creative ability, preference for music concerto, heip with studying sheet music and playing musical insturments, and desire for music creation were confirmed. In particular, unlike traditional music classes where students play the piano while reading sheet music, they were able to gain a specific and intuitive understanding of playing music through creative activities such as making a music box with a 4Dframe and modifying it in various ways, and had a positive experience with music related activities. Conclusions Teachers can contribute to educational success by actively listening to students' ideas to stimulate their thinking processes, acknowledging the work students produce, and working collaboratively with student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these activities. Additionally, as digital technology makes it possible for students to take on the roles of composer, performer, and listener simultaneously. As future changes may occur in the way stu-dents engage with music in education, teachers must be equipped to design teaching methods that take advant-age of the opportunities offered by new technolog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영신(Youngshin Park),박호걸(Hogul Park),백성혜(Seoung-Hey Paik). (2024).포디프레임을 활용한 오르골 제작과 창의적 활동을 포함한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0), 423-439

MLA

박영신(Youngshin Park),박호걸(Hogul Park),백성혜(Seoung-Hey Paik). "포디프레임을 활용한 오르골 제작과 창의적 활동을 포함한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0(2024): 423-4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