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시기별 과목군별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rends and Challenges in Social Studies Textbook Research - Focused on Research Areas by Period and Subject Group -
- 발행기관
- 한국사회과수업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사회과수업연구』제13권 제1호, 141~16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06/1068822.jpg)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미진한 연구 영역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초·중등학교 사회과교육 연구물을 게재하는 주요 학술지 5종에서 교과서를 다룬 논문 578편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과 교과서 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사회적 사상(事象)과 외국 교과서에 대한 분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교과서 개발 및 재구성에 관한 연구가 많지만, 내용 구성 원리에 대한 이론적·경험적 연구가 부족해 개선이 요구된다. 더불어 AIDT(AI 디지털 교과서)의 활용과 인식 변화에 대한 연구도 강화되어야 한다. 교과서 비교 연구에서는 시계열적 분석이 미흡해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외국 교과서 연구는 일본과 중국에 집중되어 있어 독일 등 다양한 국가로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읽기 자료, 그래프, 인포그래픽, 탐구활동, 삽화 등에 대한 분석적 연구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s and issues in social studies textbook research, identify underexplored research areas, and propose future research directions. To achieve this, 578 papers published in five major academic journals focusing on social studies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interest in social studies textbooks is increasing, and analysis on social phenomena and foreign textbook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Although there are considerable researches on textbook 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there is a lack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on the principles of content organization, which calls for improvement. Additionally, research on the use and changing perceptions of AIDT(AI Digital Textbook) needs to be strengthened. In comparative studies of textbooks, the lack of longitudinal analysis suggests a need for supplementation. Moreover, while research on foreign textbooks is concentrated on Japan and China, it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various countries such as Germany, and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research on reading materials, graphs, infographics, inquiry activities, and illustration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연구 대상 및 준거
Ⅲ.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영역별 동향 분석
Ⅳ. 초, 중등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특징
Ⅴ. 나오는 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생성형 AI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의 교수학습 프레임워크 개발
-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시기별 과목군별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 환경도서를 활용한 초등학교 기후정의 교육 내용 요소 구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