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과에서의 4·3 수업 실천 의미: 중학교 사회과 교사의 자기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Practices and Meanings of Social Studies Classes on Jeju 4·3: A Self-Study of a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acher
- 발행기관
- 한국사회과수업학회
- 저자명
- 김홍탁
- 간행물 정보
- 『사회과수업연구』제13권 제1호, 33~6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06/1068822.jpg)
국문 초록
4‧3 이후 4‧3의 세대 전승은 시대적 소명이다. 4‧3의 후체험 세대에게 4‧3의 세대 전승을 위해 가장 효과적이고 공식적인 방법은 학교 교육을 통해서다. 4‧3 교육의 중요성에 비해 4‧3 교육의 실제를 다룬 연구가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이 연구는 제주 지역 한 중학교 사회과 교사가 실천한 4‧3 수업의 교육적 의미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주시 애월읍 하귀리에 소재한 K 중학교 사회과 교사인 연구자가 자기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기 연구를 통해 연구자가 2023년부터 2024년까지 실천한 4‧3 수업 사례와 수업 실천 주체인 교사 자신을 성찰한 것이다. 연구자는 2023년과 2024년에 3학년과 1학년의 『사회』 과목에서 ‘평화로운 시국: 제주4‧3사건의 인권 침해 및 구제를 중심으로’와 ‘4‧3 이후 남겨진 사람들: 강요된 침묵을 깨고 4‧3 특별법을 넘어’로 명명한 수업을 실천하였다. 연구자가 두 해 동안 사회과 성취기준에 기반한 4‧3 수업을 실천한 것은 지역사회에 기반한 사회과교육하기, 이행기 정의를 가르치기, 어려운 역사를 가르치기, 교사의 자기 검열을 극복하기라는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교사의 4‧3 수업 실천 지원을 위해 교육청과 교사 양성 기관이 협업할 과제를 제언하였다. 이 연구가 국가폭력 및 과거사 청산을 주제로 한 사회과 수업 연구와 4‧3 교육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소망한다.
영문 초록
The generational transmission of Jeju 4‧3 after the 4‧3 is a calling of the times. The most effective and formal way to achieve this generational transmission to the post-experience generation of Jeju 4‧3 is through school education. Despite the importance of Jeju 4‧3 education, there is a lack of research addressing the practical aspects of education on Jeju 4‧3.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actices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lasses on Jeju 4‧3 conducted by a social studies teacher at a middle school in Jeju. To this end, the researcher, a social studies teacher at K Middle School in Hagwi-ri, Aewol-eup, Jeju City, conducted a self-study. Through this self-study, the researcher reflected on classes on Jeju 4‧3 practiced from 2023 to 2024 and on the teacher as the principal agent of these class practices. In 2023 and 2024, the researcher practiced classes titled ‘Peaceful Times: Focusing on Human Rights Violations and Restoration of Jeju 4‧3’ and ‘Those Left Behind After Jeju 4‧3: Breaking the Enforced Silence and Advancing Beyond Jeju 4‧3 Special Act’ in the third-and first-year social studies classes, respectively. Practicing 4‧3 classes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with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over these two years holds meanings such as implementing community-based social studies education, teaching transitional justice, teaching difficult history, and overcoming teachers’ self-censorship. Finally, the researcher suggested tasks for collaboration among the Office of Education,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 to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Jeju 4‧3 classes by teacher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broadening the horizon of social studies class research and Jeju 4‧3 education research with themes of state violence and truth and justi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