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과 수업계획에서 초등 예비교사의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인식과 개선 요구

이용수 0

영문명
Pre-service Teachers’ Awareness and Improvement Demands o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acher's Guidebook in Social Studies Lesson Planning
발행기관
한국사회과수업학회
저자명
윤옥경
간행물 정보
『사회과수업연구』제13권 제1호, 1~1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1.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사회과 수업을 계획할 때, 교사용지도서를 어떻게 인식하고 활용하는지 파악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이다. 연구대상자인 초등 예비교사들은 모의수업을 준비하면서 실제 수업을 전제로 교사용 지도서에 대해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활용 방안을 탐구했다. 초등 예비교사들은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를 자료, 수업, 학습자의 측면에서 분석, 평가하고 개선할 사항을 제시했다. 초등 예비교사들은 사회과 수업 계획 과정에서 교사용 지도서에 대해 실생활 사례 문제 해결을 위한 자료가 필요하고 편향성 없는 공정한 시각, 구체적인 문제 해결 방안과 실천 방안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했다. 또 그들은 교사용 지도서의 자료가 수업진행에 따른 교사의 역할과 학습 과정을 안내하고 학생 학습 부담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초등 예비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가 수업 계획에 활용할 때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역으로 교사용 지도서의 정형적인 틀의 수업에 의존하면 창의적인 수업이나 교사 전문성을 기르는 데 방해요소가 될 수도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향후 예비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과용 도서의 개발에 시사점을 얻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o understand how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perceive and use teacher's guidebooks when planning social studies lessons. While preparing for the mock lesson,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critically analyzed the teacher's guidebooks and explored ways to use them on the premise of actual classes.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nalyzed, evaluated, and suggested improvements in terms of materials, classes, and learners for social studies teachers.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said that resources for solving real-life case problems were needed for teacher's guidebooks in the social studies lesson planning process, and that they should include a fair perspective without bias, and specific problem solving and action plans. They also addressed that the materials in the teacher's guidebook will guide the teacher's role and learning process and help ease the learning burden.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pointed out that while teacher's guidebooks are helpful when used in class planning, conversely, relying on formal lessons in the teacher's guidebook may hinder creative instruction or teacher expertise. Through this study, implications were obtained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books to improve the teaching expertise of pre-service teachers in the future.

목차

I. 서론
Ⅱ. 초등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선행연구와 이론적 논의
Ⅲ.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인식과 활용 및 개선 요구
Ⅳ.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옥경. (2025).사회과 수업계획에서 초등 예비교사의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인식과 개선 요구. 사회과수업연구, 13 (1), 1-17

MLA

윤옥경. "사회과 수업계획에서 초등 예비교사의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인식과 개선 요구." 사회과수업연구, 13.1(2025): 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