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빅 아이디어를 활용한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설계 방식 고찰: 해외 교육과정 분석을 바탕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Design Methods for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Using Big Ideas: Based on Analysis of Overseas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사회과수업학회
저자명
나경훈 한춘희
간행물 정보
『사회과수업연구』제13권 제1호, 67~9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1.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빅 아이디어를 활용한 해외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도출하여 분과주의가 강한 우리나라 사회과에 실현가능한 교육과정 설계 방식은 무엇인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 빅 아이디어를 활용한 캐나다 BC주, 온타리오주, 싱가포르 교육과정의 특징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 설계 방식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빅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설계한 해외 교육과정은 독자적으로 통합적인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졌다. 또한 사회과 영역을 구분하지 않고 학년별 주제를 제시하였으며, 공통의 핵심 개념과 학년별 빅 아이디어를 진술하였다. 반면,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초․중등이 통합된 공통 교육과정 체제로 개발하여 학교급의 특성을 반영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사회과에서는 분과화된 중등에 적합한 다양한 영역 중심 내용체계표를 구성하여 학년별 공통 주제를 도출할 수 없었고, 학년이 아닌 영역별 핵심 아이디어가 진술되었다. 이러한 맥락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빅 아이디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통합’을 지향하는 초등사회과 교육과정과 ‘분과’를 지향하는 중등사회과 교육과정의 별도의 접근 방식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curriculum design methods are feasible for Korea's social studies, which has strong departmentalis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overseas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using big ideas. To this end,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in BC, Ontario, and Singapore using Big Idea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Korea's social studies curriculum design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overseas curriculum designed using big ideas developed its own integrat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unlike secondary curriculum where areas are divided. In addition, topics for each grade were presented without dividing social studies areas, and key concepts and big ideas for each grade were stated. On the other hand, Korea's curriculum was developed as a common curriculum system that integrat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making it difficult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level. Therefore, in social studies, it was not possible to derive common topics by grade level by constructing a content system centered on various areas suitable for middle school where areas are divided, and key(big) ideas by area, not by grade, were stated. Considering this context,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big ideas in our country's social studies curriculum, separate approaches are needed for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imed at 'integration' and the second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imed at 'division'.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빅 아이디어와 2022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Ⅲ. 빅 아이디어를 활용한 해외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구성 방식 분석
Ⅳ. 논의: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 맥락에서 빅 아이디어를 활용하기 위한 전제 조건
Ⅴ.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나경훈,한춘희. (2025).빅 아이디어를 활용한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설계 방식 고찰: 해외 교육과정 분석을 바탕으로. 사회과수업연구, 13 (1), 67-92

MLA

나경훈,한춘희. "빅 아이디어를 활용한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설계 방식 고찰: 해외 교육과정 분석을 바탕으로." 사회과수업연구, 13.1(2025): 67-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