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Model for Multi-grade Classes Using Peer Tutoring Activitie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진오(Jino Kim) 김현욱(Hyunwook Kim)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1권 제1호, 291~31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다학년 학급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다학년 학급에서 수업을 실행하는 교사들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동료 교수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 수업모형’을 개발하여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다학년 학급 수업 및 동료 교수 활동과 관련한 문헌을 분석하여 수업 원리를 도출하고 수업모형을 구안하였으며, 다학년 학급 지도 경험이 있는 전문가 집단의 검토를 통한 내적 타당화와 N초등학교 다학년 학급에서의 현장 적용을 통한 외적 타당화를 거쳐 수업모형의 절차와 내용을 정교화하였다.
연구결과 동료 교수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 수업모형은 전문가 검토를 통해 타당성을 입증하였으며, 학생과 교수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학년 학습자 특성 분석, 공통 주제 및 학년별 목표 진술, 다학년 동료 교수 준비, 다학년 동료 교수 활동, 성찰 및 평가 단계로 구성된 최종 수업모형을 도출하였다.
결론 본 수업모형의 특징과 의의를 바탕으로 다학년 학급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 전환의 기회가 될 수 있으며, 다학년 학급을 지도하는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는 한 방향으로 기능할 수 있고, 일반 학교 교육 상황에서도 널리 적용할 수 있는 학생 맞춤형 수업 모델로 활용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provide a multi-grade class instructional model utilizing peer tutoring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by teachers in response to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multi-grade classes due to declining school-age populations.
Methods: To achieve this, the study analyzed literature related to multi-grade class instruction and peer tutoring activities to derive instructional principles and design a teaching model. The model underwent internal validation through reviews by experts with experience in multi-grade class instruction and external validation through field application in a multi-grade class at N Elementary School, resulting in the final instructional model.
Results: The multi-grade class instructional model using peer tutoring was validated by experts, demonstrating positive effectiveness for both students and instructors. Through this process, a final model was developed, consisting of the following stages: multi-grade learner analysis, common theme and grade-specific goal setting, multi-grade peer tutoring preparation, multi-grade peer tutoring activities, and reflection and evalu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features and significance of this model, it was discussed whether it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foster a positive shift in perceptions of learning in multi-grade classrooms. Additionally, it can function as a strategy to help teachers overcome the challenges of teaching in multi-grade settings. Furthermore, this model can be utilized as a differentiated instruction model that is widely applicable in a general educational context.
목차
Ⅰ. 서 론
Ⅱ. 다학년 학급 수업 및 동료 교수 활동의 원리
Ⅲ. 연구 방법
Ⅳ. 수업모형 구안 및 내적 타당화
Ⅴ. 현장 적용 및 효과성 평가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 노벨엔지니어링을 활용한 사회과 AI 융합교육 사례연구
- 초등학생의 프레너미 관계(Frenemyship) 특성 분석
- 가치분석 수업모형의 적용 방안 탐색
- 맞춤형 한국어 교육의 실태와 시사점
-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교육 활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대한 경로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를 위한 교원양성기관의 역할과 과제 - 미국 사범대학 다중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교육대학교 재학생의 MBTI 성격 차원별 수업 효과, 수업 방식 및 피드백에 대한 인식
- 대용부설초등학교의 교육실습 운영 현황 및 과제 - 음악 교과를 중심으로
- 신국가 건설기 홍익인간 교육이념의 정립 과정에 대한 재고찰
- 미디어 문해력 관련 고등학교 고시 외 과목 교육과정 문서 분석
- 초등학생 실행기능의 수행 기반 측정과 평정 기반 측정 간 관계 분석
-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상담의 어려움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에듀테크 시대 국어 수업과 교사의 역할 탐구
- 포디프레임을 활용한 오르골 제작 경험이 예비교사의 융합교육 역량에 미치는 영향
- 학업적 맥락에서 초등학생의 문제행동 잠재프로파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