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맞춤형 한국어 교육의 실태와 시사점
이용수 0
- 영문명
- The 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s of the Differenti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조영임(Youngim Cho) 노병호(Byoung-Ho Noh)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1권 제1호, 95~12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06/1068757.jpg)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육 대상자들을 위한 교육 정책과 실태를 분석하고 그 결과가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정부가 한국어 교육 대상자들을 위한 교육에 제도적인 참여를 시작한 2006년부터 발표한 교육지원계획,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연구, 다문화 학생 관련 기관에서 작성한 보고서, 한국어 교육 실태를 연구한 보고서 및 논문 등 관련 문헌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자료 분석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맞춤형 한국어 교육’은 대상 학생들의 언어능력에 따른 ‘수준별 수업’으로 이어져 소기의 성과보다는 학력 격차가 더 커지고, 학교 적응 문제와 학교폭력 문제 등을 악화시켰다. 수준별로 표준화된 교육 교재는 ‘맞춤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수준별 수업에 머물게 하여 수업이 학생들의 다양성을 반영하지 못하면서 이루어져 왔다. 또한 한국어 교육 대상자들에 대한 국가의 지원정책들은 심도 있는 연구나 이론적 뒷받침이 부족한 상태에서 시행되어 시행착오를 거칠 수밖에 없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맞춤형 한국어 교육’ 실태 분석 결과에서 도출된 시사점들은 첫째, 한국어 교육에 관여하는 교육자들이 맞춤형 수업(differentiated instruction)에 관한 지식에 정통해야 하고 이해하며 실천하려는 의지가 강해야 하고, 둘째, 학생들의 언어능력에 맞춘 수준별 맞춤형 (ability grouping) 한국어 교육보다는 학생들의 다양성을 반영한 맞춤형 한국어 교육이 더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실행해야 하며. 셋째, 맞춤형 한국어 교육 정책은 제2 언어 습득뿐만 아니라 맞춤형 교육에 관한 이론과 실제의 철저한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policies and practice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o derive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Methods: To achieve this, relevant literature was collected and analyzed, including educational support plans announced by the government since 2006, when the government began institutional involvem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arget groups, research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reports from institutions dealing with multicultural students, as well as reports and papers studying the actual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se materials, implications were drawn.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ata, Korea's “differenti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through “ability grouping” according to students' language proficiency. However, rather than achieving the intended outcomes, this approach has widened the academic achievement gap and worsened issues such as school adaptation and school violence. The standardized teaching materials for each level have led teachers to perceive “differentiated education” merely as level-based instruction, preventing the classes from reflecting the diversity of students.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the national support policie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implemented without sufficient in-depth research or theoretical grounding, which led to inevitable trial and error.
Conclusion: The implications drawn from the analysis of the actual state of “tailored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educators involv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ust be well-versed in differentiated instruction, with a strong commitment to understanding and implementing it in practice. Second, it should be recognized and actively practice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tailored to reflect students' diversity is more effective than level-based instruction (ability grouping) based on students' language proficiency. Third, policies on tailored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grounded not only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ories but also in thorough research 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differentiated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맞춤형 한국어 교육의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 노벨엔지니어링을 활용한 사회과 AI 융합교육 사례연구
- 초등학생의 프레너미 관계(Frenemyship) 특성 분석
- 가치분석 수업모형의 적용 방안 탐색
- 맞춤형 한국어 교육의 실태와 시사점
-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교육 활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대한 경로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를 위한 교원양성기관의 역할과 과제 - 미국 사범대학 다중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교육대학교 재학생의 MBTI 성격 차원별 수업 효과, 수업 방식 및 피드백에 대한 인식
- 대용부설초등학교의 교육실습 운영 현황 및 과제 - 음악 교과를 중심으로
- 신국가 건설기 홍익인간 교육이념의 정립 과정에 대한 재고찰
- 미디어 문해력 관련 고등학교 고시 외 과목 교육과정 문서 분석
- 초등학생 실행기능의 수행 기반 측정과 평정 기반 측정 간 관계 분석
-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상담의 어려움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에듀테크 시대 국어 수업과 교사의 역할 탐구
- 포디프레임을 활용한 오르골 제작 경험이 예비교사의 융합교육 역량에 미치는 영향
- 학업적 맥락에서 초등학생의 문제행동 잠재프로파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