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치분석 수업모형의 적용 방안 탐색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the Application of the Value Analysis Instruction Model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이재호(Jae-Ho Lee) 김항인(Hang-In Kim)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41권 제1호, 75~9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1.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가치분석 이론에 기반한 가치분석 수업모형의 적용 방안을 탐색하되, 교수전략에 따른 교사의 발문과 초등 예비교사의 이해도를 조사 및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어 향후 강의 개선과 교육대학생 대상 교재 개발 연구에 활용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도덕과에서의 가치분석 수업모형에 대한 이론적 이해의 일환으로 이 수업모형의 중요성과 교수전략에 따른 교사의 발문을 고찰한 다음, 교육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하여 이 수업모형에 대한 이해도와 실제 수업을 염두에 둔 가치원리 검사의 적용 능력을 조사 및 평가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설문 조사에 대한 양적, 질적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예비교사는 선지식을 통해 대다수가 가치분석 수업모형을 대체로 잘 알고 있거나 조금 알고 있는 것으로 자신을 평가하고 있으나, 이 수업모형을 구체적 수업 상황에 적용해 보는 발문 전략 및 내용 제시에 있어서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둘째로, 가치분석 수업모형에 대한 ‘전반적 이해나 사실판단 탐색’에 대한 이해보다는 ‘단계 혹은 절차 및 가치원리의 검사’에서 높은 이해를 보인 예비교사가 실제 발문 전략 및 내용에서 높은 점수를 얻고 있다. 셋째로, 예비교사는 네 가지의 가치원리 검사를 적용해 보는 서술형 검사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결론 가치분석 수업모형의 이해와 적용에 관한 예비교사의 역량을 분석 및 논의하고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일은 가치판단의 타당성과 보편화가능성을 고려해야 하는 도덕과 수업 활동이 지니는 고유한 특성을 고려할 때 중요하고 필요한 일이다. 특히 가치원리 검사의 능력 신장을 위해서는, 각각의 검사가 지니는 개념적 의미와 방법을 단지 이해하는 차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발문에서의 오답 가능성 문제를 염두에 두고, ‘가능한 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사태에 가깝게 사고하여 적용해 보는’(近思) 방안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a value analysis instruction model based on the value analysis theory, focusing in particular on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eachers' questions a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ccording to teaching strategies. Methods: As part of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value analysis instruction model in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value analysis theory, the researcher examined the importance of this instruction model and the teacher's question according to the teaching strategy. Then, through a questionnaire targeting college of education students who ar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researcher analyzed and discussed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is model and the ability to apply the value principle test were investigated and evaluated, and the results. Results: First,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had difficulty in presenting questioning strategies to apply this model to specific teaching situations. Second, pre-service teachers who showed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in ‘the value principle test’ received high scores in actual questioning strategies. Third, pre-service teachers had difficulty in the descriptive test to apply the four value principle tests. Conclusion: The process of the value principle test requires a teaching method of ‘thinking and applying as close to a specific and realistic situation as possible’, especially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incorrect teachers’ questions.

목차

Ⅰ. 서 론
Ⅱ. 가치분석 수업모형과 교사의 발문
Ⅲ. 초등 예비교사의 가치분석 수업모형 이해도 조사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재호(Jae-Ho Lee),김항인(Hang-In Kim). (2025).가치분석 수업모형의 적용 방안 탐색. 교원교육, 41 (1), 75-94

MLA

이재호(Jae-Ho Lee),김항인(Hang-In Kim). "가치분석 수업모형의 적용 방안 탐색." 교원교육, 41.1(2025): 75-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