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에듀테크 시대 국어 수업과 교사의 역할 탐구
이용수 0
- 영문명
- The role of teachers in Korean language instruction in the Edutech era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신윤경(Yunkyung Shin)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1권 제1호, 351~37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에듀테크 시대, 국어 수업의 변화와 전망, 변화하고 있는 에듀테크의 교육 환경에서 교사는 어떻게 대응하고 진화해 나가야 하는지 그 방향성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에듀테크의 개념과 국어 수업의 변화, 에듀테크 시대 국어 교육과 학습을 위한 시사점, 에듀테크 시대 국어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을 제안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에듀테크의 개념과 국어 수업의 혁신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에듀테크 시대의 국어 수업의 변화에 대해 탐구한다. 에듀테크가 학교현장에서 올바르게 적용되기 위해서는 국어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의 에듀테크에 관한 올바른 인식과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문헌연구를 통해 에듀테크 시대 국어 교육과 학습을 위한 시사점에 대해 무엇을, 어떻게 배워야 하는가라는 핵심 질문을 토대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연구결과 에듀테크 시대에서 학생들이 ‘어떻게 배우는가?’의 문제는 곧, 국어 교육의 다양한 영역, 층위, 맥락 등과 연계되어 실현될 수 있다. 국어 수업에 있어 교사는 학습자의 맞춤형 교육 강화, 주체 및 대상을 확대하는 상호작용성을 삶과 연계, 디지털 기술 환경에서의 의사소통 맥락의 총체성과 실제성 강화의 지향점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제언으로는 첫째, 에듀테크 활용 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practical knowledge)과 능력의 공유, 둘째, 학습적인 측면 외의 윤리적·도덕적 판단 능력, 비판적 사고 능력 강화의 역할, 셋째, 국어 교사로의 시스템 사고력, 디자인 사고력, 컴퓨팅 사고력의 전문성 제고를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에듀테크 시대, 국어 교사의 역할을 통해 국어 수업과 학교 현장에서 교사와 학생의 맞춤형 상호작용이 강화되고 효과적인 에듀테크 활용 수업이 강화되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changes and prospects of Korean language instruction in the Edutech era, and the direction in which teachers should respond and evolve in the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of Edutech. To this end, it proposes the concept of Edutech and changes in Korean language classes, implica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learning in the Edutech era, and the role of teachers in Korean language classes in the Edutech era.
Methods: To this end, we examine the concept of Edutech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innovation in Korean language classes, were examined, and changes in Korean language classes in the Edutech era were explored. In order for Edutech to be applied correctly in schools, teacher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classes must first have a correct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Edutech, and the role of teachers is important.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 discussion based on the key question of what and how to learn implica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learning in the Edutech era was developed.
Results: In the era of Edutech, the question of ‘how do students learn?’ can be realized in connection with various areas, levels, and contex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classes, teachers should strive to strengthen customized education for learners, expand interactivity that expands the subject and object, connect it with life, and strengthen the totality and practicality of the communication context in the digital technology environment.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sharing practical knowledge and abilities for classes utilizing Edutech; second, strengthening ethical and moral judgment abilities and critical thinking abilities outside of the learning aspect; and third,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systems thinking, design thinking, and computational thinking.
Conclusion: Through the rol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Edutech era proposed in this study, a discussion based on the key question of what and how to learn implica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learning in the Edutech era was developed.
목차
Ⅰ. 서 론
Ⅱ. 에듀테크와 국어 수업의 변화
Ⅲ. 에듀테크 시대 국어 교육과 학습을 위한 시사점
Ⅳ. 에듀테크 시대 국어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 노벨엔지니어링을 활용한 사회과 AI 융합교육 사례연구
- 초등학생의 프레너미 관계(Frenemyship) 특성 분석
- 가치분석 수업모형의 적용 방안 탐색
- 맞춤형 한국어 교육의 실태와 시사점
-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교육 활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대한 경로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를 위한 교원양성기관의 역할과 과제 - 미국 사범대학 다중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교육대학교 재학생의 MBTI 성격 차원별 수업 효과, 수업 방식 및 피드백에 대한 인식
- 대용부설초등학교의 교육실습 운영 현황 및 과제 - 음악 교과를 중심으로
- 신국가 건설기 홍익인간 교육이념의 정립 과정에 대한 재고찰
- 미디어 문해력 관련 고등학교 고시 외 과목 교육과정 문서 분석
- 초등학생 실행기능의 수행 기반 측정과 평정 기반 측정 간 관계 분석
-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상담의 어려움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에듀테크 시대 국어 수업과 교사의 역할 탐구
- 포디프레임을 활용한 오르골 제작 경험이 예비교사의 융합교육 역량에 미치는 영향
- 학업적 맥락에서 초등학생의 문제행동 잠재프로파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