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프레너미 관계(Frenemyship) 특성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enemyship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이한솔(Hansol Lee) 김가은(Gaeun Kim) 문아영(Ahyeong Moon)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1권 제1호, 51~7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친구와 적의 합성어인 프레너미는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긍정적인 친구 관계 촉진을 위해 프레너미 관계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프레너미 관계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이해를 돕고자 초등학생의 프레너미 관계 특성을 밝히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 프레너미 관계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일대일 심층 면담에는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였으며, 면담을 통해 얻은 내용은 반복적 비교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진 3인은 각각 코딩과 범주화 단계 작업을 수행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여 결론을 합의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프레너미 관계의 구조는 동등한 관계, 상하관계, 일방적 관계, 행동 양상은 간접적 적대감 표출, 이중적 행동, 종속적 요구, 사회관계 통제, 원인은 불가피한 상황 조성, 친구 관계 변질, 사회적 관계에 의한 형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향은 심리적 불안, 학교 부적응, 교우관계 분열, 성찰 및 개인적 성장, 대처는 상황 회피, 감정 해소, 관계 회복 노력, 후속 변화는 관계 개선, 관계 소멸로 나타났다.
결론 교사는 학생들의 표면적 우정에 대해 경계해야 하며, 학생들이 교우관계에 대한 고민을 표현할 수 있는 허용적인 교실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또한 프레너미 관계를 건강한 관계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학생을 도와주어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term “frenemy,” combining “friend” and “enemy,” can negatively impact peer interaction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frenemy relationships among elementary students to help teachers understand and address this dynamic.
Methods: One-on-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elve fifth graders who had experienced frenemy relationships,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through repetitive comparison, with three researchers independently coding and categorizing results.
Results: Structures of frenemy relationships included equal, hierarchical, and one-sided dynamics, with behaviors like indirect hostility, dual actions, and dependency. The causes included unavoidable situations, friendship deterioration, and social influences. Influences involved psychological anxiety, school maladaptation, and peer relationship issues, while responses included avoidance, emotional expression, and attempts to restore relationships. Subsequent changes were observed with relationship improvement and relationship dissolution.
Conclusion: Teachers should be attentive to superficial friendships, foster a classroom environment for open discussion on peer relationships, and support students in transforming frenemy relationships into healthier connec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 노벨엔지니어링을 활용한 사회과 AI 융합교육 사례연구
- 초등학생의 프레너미 관계(Frenemyship) 특성 분석
- 가치분석 수업모형의 적용 방안 탐색
- 맞춤형 한국어 교육의 실태와 시사점
-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교육 활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대한 경로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를 위한 교원양성기관의 역할과 과제 - 미국 사범대학 다중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교육대학교 재학생의 MBTI 성격 차원별 수업 효과, 수업 방식 및 피드백에 대한 인식
- 대용부설초등학교의 교육실습 운영 현황 및 과제 - 음악 교과를 중심으로
- 신국가 건설기 홍익인간 교육이념의 정립 과정에 대한 재고찰
- 미디어 문해력 관련 고등학교 고시 외 과목 교육과정 문서 분석
- 초등학생 실행기능의 수행 기반 측정과 평정 기반 측정 간 관계 분석
-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상담의 어려움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에듀테크 시대 국어 수업과 교사의 역할 탐구
- 포디프레임을 활용한 오르골 제작 경험이 예비교사의 융합교육 역량에 미치는 영향
- 학업적 맥락에서 초등학생의 문제행동 잠재프로파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