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생 실행기능의 수행 기반 측정과 평정 기반 측정 간 관계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Based and Rating-Based Measurements of Executive Functions in Elementary Students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박대철(Daecheol Park) 김현욱(Hyunwook Kim)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41권 제1호, 261~28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1.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수행 기반 실행기능 측정 도구와 평정 기반 실행기능 측정 도구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실행기능 평가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세종특별자치시 초등학생 101명을 대상으로 수행 기반 실행기능 측정 도구(Go/Nogo, Digit Span, Tower of Hanoi, Task Switching, Stroop, WCST)와 사회정서 역량 진단 도구를 포함하는 평정 기반 실행기능 측정 도구(한국어판 바클리 실행기능 결핍 척도 등)를 활용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행 기반 실행 기능 측정 도구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일부 평정 기반 실행기능 측정 도구와도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수행 기반 실행기능 측정 도구 중 일부 과제는 평정 기반 실행기능 측정 도구의 특정 하위 요인에 제한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수행 기반 실행기능 측정 도구는 대부분의 사회정서역량 하위요인과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으나, 평정 기반 실행기능 측정도구는 사회정서역량의 여러 하위 요인과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 수행 기반 도구는 전통적 실행기능 요소를 평가하는 데 주로 활용되었지만, 사회정서역량과의 관계에서는 제한적이었다. 반면, 평정 기반 도구는 정서적 조절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확장적 실행기능 요소를 반영하여, 학생의 일상 생활 및 학습 환경에서의 실행기능 발휘 양상을 폭넓게 반영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실행기능의 확장적 개념을 포괄할 수 있는 평가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학생의 실행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based and rating-based measures of executive functions (EF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EF assessmen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01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jong City using performance-based EF measures (Go/Nogo, Digit Span, Tower of Hanoi, Task Switching, Stroop, WCST) and rating-based EF measures, including the Social-Emotional Competence Diagnostic Tool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Barkley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ing Scal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Result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observed among the performance-based EF measures, with several correlations also identified between performance-based and specific subcomponents of the rating-based EF measures. However, correlations between performance-based measures and most subcomponents of social-emotional competence were limited. In contrast, rating-based EF measures showed strong correlations with various subcomponents of social-emotional competence. Conclusion: Performance-based measures were primarily effective in assessing traditional EF components but showed limitations in their relationship with social-emotional competence. On the other hand, rating-based measures reflected expanded EF components, such as emotional regulation and social interactions, providing a broader perspective on EFs as exhibited in students’ daily lives and learning environment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to develop assessment tools that encompass the expanded concept of EFs, laying the foundation for more effective support of students' EF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대철(Daecheol Park),김현욱(Hyunwook Kim). (2025).초등학생 실행기능의 수행 기반 측정과 평정 기반 측정 간 관계 분석. 교원교육, 41 (1), 261-289

MLA

박대철(Daecheol Park),김현욱(Hyunwook Kim). "초등학생 실행기능의 수행 기반 측정과 평정 기반 측정 간 관계 분석." 교원교육, 41.1(2025): 261-2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