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교육 활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대한 경로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Path Analy sis of variables affect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ntion to use digit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정현(Jeonghyun Kim)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1권 제1호, 123~14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교육 만족도, 디지털리터러시,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디지털교육 활용의도 간 관계를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교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 변인 간 관계를 확인하고 교원양성기관 디지털 교육에서의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해 2022년과 2023년 수도권 소재의 디지털 교육 관련 수업을 수강한 유아교육과 재학생 8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예비유아교사 대상의 디지털교육 경험 측정을 위한 만족도 8문항, 디지털리터러시 20개 문항, 지각된 유용성 4문항, 지각된 사용용이성 3문항, 디지털교육 활용의도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변인 간 설정된 경로의 적절성 검증을 위해 Mplus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가 인지하는 디지털교육 만족도, 디지털리터러시는 지각된 사용용이성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디지털교육 만족도와 디지털리터러시의 경우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디지털교육 활용의도에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교육 실행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도록 디지털리터러시 관련 교양, 전공 등의 커리큘럼을 유기적으로 연계할 필요가 있으며, 예비유아교사가 디지털교육의 유용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교육 현장으로의 전이가 효과적인 현장중심형 수업 확대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ing factor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education practices and find implications for digital education in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 variables analyzed in this study are digital education satisfaction, digital literacy,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intention to use digital education.
Methods: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85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who took the digital education class at A University in 2022 and 2023.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8 questions on digital education satisfaction, 20 questions on digital literacy, 4 questions on perceived usefulness, 3 questions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3 questions on intention to use digital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Mplus was utilized to verify the appropriateness of the established paths between the variables.
Result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education satisfaction and digital literacy influenced perceived ease of use. Second, perceived ease of us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However, for digital education satisfaction and digital literacy, th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was not significant. Third,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influenced the intention to use digital educatio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organically link curricula such as liberal arts and major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to lower the entry barrier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implement digital education, suppor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recognize the usefulness of digital education, and expand field-oriented classes that can be easily transferred to the educational fiel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 노벨엔지니어링을 활용한 사회과 AI 융합교육 사례연구
- 초등학생의 프레너미 관계(Frenemyship) 특성 분석
- 가치분석 수업모형의 적용 방안 탐색
- 맞춤형 한국어 교육의 실태와 시사점
-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교육 활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대한 경로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를 위한 교원양성기관의 역할과 과제 - 미국 사범대학 다중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교육대학교 재학생의 MBTI 성격 차원별 수업 효과, 수업 방식 및 피드백에 대한 인식
- 대용부설초등학교의 교육실습 운영 현황 및 과제 - 음악 교과를 중심으로
- 신국가 건설기 홍익인간 교육이념의 정립 과정에 대한 재고찰
- 미디어 문해력 관련 고등학교 고시 외 과목 교육과정 문서 분석
- 초등학생 실행기능의 수행 기반 측정과 평정 기반 측정 간 관계 분석
-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상담의 어려움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에듀테크 시대 국어 수업과 교사의 역할 탐구
- 포디프레임을 활용한 오르골 제작 경험이 예비교사의 융합교육 역량에 미치는 영향
- 학업적 맥락에서 초등학생의 문제행동 잠재프로파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