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용부설초등학교의 교육실습 운영 현황 및 과제 - 음악 교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Teaching Practice in a Substitute Elementary School : Focus on Teaching Music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송정주(Jeongju Song)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1권 제1호, 195~21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용부설초등학교의 음악 교과 실습 현황을 분석하여 예비교사가 음악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비교사의 음악 수업 전문성 신장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D 지역의 A, B 대용부설초등학교를 대상으로 2021년부터 2023년까지 3년간의 교육실습 자료를 분석하고, 해당 학교에서 교육실습을 수행한 예비교사 12명과 실습지도 교사 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 자료는 연구학교 운영 편람, 담당 교사 회의 자료, 수업 실습 오리엔테이션 자료, 실습 운영 계획서, 교육활동 수업 배당표, 예비교사의 실습록 등이다.
연구결과 음악 수업 실습에서 예비교사들은 음악 수업 설계, 교수·학습 내용 구성, 음악 개념 지도 등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대용부설초에서 예비교사의 음악 수업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지도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연수와 지원을 제공하여 효과적으로 음악수업을 지도할 수 있도록 돕고, 이들이 예비교사들에게 모범적인 수업 모델을 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둘째, 예비교사들이 음악 교과에 대한 전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충분한 실습 기회와 구체적인 교수전략을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셋째, 교원양성교육기관과 대용부설초는 협력하여 예비교사들이 제재곡에서 지도해야 할 음악 개념을 추출하고 이를 체계적인 수업 활동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음악 수업 전문성이 높은 실습지도 교사와의 협력체계를 강화하여 예비교사들의 음악 수업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결론 음악 수업 전문성을 갖춘 교사 양성을 위해서는 예비 교사, 양성기관, 실습 기관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가 교육실습학교에서 예비 교사가 음악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고, 음악 수업 전문성을 갖춘 교사 양성에 기여하여 교육 현장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current situation of music teaching practice in substitute elementary schools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that pre-service teachers face in music teaching,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pre-service teachers' music teaching expertise.
Methods: The data of teaching practice in A and B substitute primary schools in District D for three years from 2021 to 2023 were analysed, and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elve pre-service teachers and six practice supervisors who conducted teaching practice in these schools. The data analysed included the study school's operation manual, teacher in charge meeting materials, classroom practice orientation materials, practice operation plan, teaching activity class allocation table, and pre-service teachers' practice records.
Results: First, practical training and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pre-service teachers so that they can teach music more effectively and provide exemplary teaching models for pre-service teachers. Second, pre-service teachers should be provided with sufficient practice opportunities and concrete teaching strategies to enhance their expertise in music teaching. Third, the development of specific and practical guidelines, in collaboration with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help pre-service teachers extract the musical concepts to be taught from the songs and organise them into structured classroom activities. Fourth, to improve preservice teachers' confidence in music and teaching practice, the cooperation system with practicing teachers with high expertise in music teaching should be further strengthened.
Conclusion: In order to cultivate teachers with expertise in music teaching, close collaboration between pre-service teachers as well as training institutions and practicum institutions are essential.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resolving pre-service teachers' difficulties in music teaching at teacher education practicum schools and to fostering teachers with expertise in music teaching, bringing positive changes to the educational fiel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 노벨엔지니어링을 활용한 사회과 AI 융합교육 사례연구
- 초등학생의 프레너미 관계(Frenemyship) 특성 분석
- 가치분석 수업모형의 적용 방안 탐색
- 맞춤형 한국어 교육의 실태와 시사점
-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교육 활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대한 경로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를 위한 교원양성기관의 역할과 과제 - 미국 사범대학 다중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교육대학교 재학생의 MBTI 성격 차원별 수업 효과, 수업 방식 및 피드백에 대한 인식
- 대용부설초등학교의 교육실습 운영 현황 및 과제 - 음악 교과를 중심으로
- 신국가 건설기 홍익인간 교육이념의 정립 과정에 대한 재고찰
- 미디어 문해력 관련 고등학교 고시 외 과목 교육과정 문서 분석
- 초등학생 실행기능의 수행 기반 측정과 평정 기반 측정 간 관계 분석
-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상담의 어려움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에듀테크 시대 국어 수업과 교사의 역할 탐구
- 포디프레임을 활용한 오르골 제작 경험이 예비교사의 융합교육 역량에 미치는 영향
- 학업적 맥락에서 초등학생의 문제행동 잠재프로파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