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현장실습학기제를 위한 교원양성기관의 역할과 과제 - 미국 사범대학 다중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Roles and Challenges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for Implementing a Semester-Long School-Based Practicum : A Multiple-Case Study of Student Teaching Practices in the U.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최윤정(Yoonjung Choi) 윤현신(Hyun Sin Yun)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1권 제1호, 141~16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미국 4개 사범대학의 교육실습 제도와 운영에 대한 다중사례연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현장실습학기제를 위한 교원양성기관의 역할과 과제에 대해 탐색하였다.
연구방법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한 본 연구는 문헌자료 수집 및 분석을 통해 다중사례에 대한 명문화된 교육실습 제도 및 운영의 현황을 파악하고, 슈퍼바이저로서 교육실습 전담·출장지도의 경험이 있는 교원을 소속 기관별로 면담하여 실천적 차원에서의 제도 및 운영의 실제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미국 4개 사범대학의 교육실습 제도와 운영에서의 교원양성기관의 역할 및 과제에 대해 다음의 공통점이 도출되었다: (1)교원양성 전(全) 과정을 통한 단계형·분산형 사전실습, (2)학기 단위 교육실습에서의 점진적 학교 현장 진입 및 이수 요건 체계화, (3)트라이어드(triad)형 협력적 관계 제도 속 슈퍼바이저의 역할과 책임, (4)교육실습의 목표·내용·결과·쟁점으로서의 다문화교육 실천 제도화.
결론 2028년도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전면 도입이 예고된 가운데 본 연구의 결과는 단지 실습기간의 확대뿐만 아니라 교원양성 교육과정 전 과정의 재구조화 및 교육실습 연계 설계, 교육실습 현장 전문가로서의 슈퍼바이저 활용과 역할 고도화를 위한 제도·재원 준비, 미래 인구변화 및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에 따른 교원양성의 과제를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multiple-case study on the student teaching policies and practices at 4 teacher education universities in the United States.
Methods: Adopt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is study examined documented policies and practices of student teaching at 4 U.S.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with 4 professors in the universities who had experience as a student teaching supervisor.
Results: 4 major findings regarding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for student teaching are as follows: (1) Phased and distributed pre-practicum experiences integrated throughout the entir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2) Gradual immersion into school settings and systematization of step-by-step completion requirements, (3)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supervisors within triad-based collaborative relationships, and (4) The institutionaliz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a goal, content, outcome, and an issue of student teaching practicum.
Conclusion: As the Semester-long School-based Practicum System(학교현장실습학기제) is set to be fully implemented in 2028,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hange should go beyond simply extending the practicum period. It calls for restructuring the whol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designing integrated practicum programs, enhancing the institutional and financial support for supervisors as field experts, and addressing the challenges of teacher education in light of demographic changes and the shift toward a multicultural socie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 노벨엔지니어링을 활용한 사회과 AI 융합교육 사례연구
- 초등학생의 프레너미 관계(Frenemyship) 특성 분석
- 가치분석 수업모형의 적용 방안 탐색
- 맞춤형 한국어 교육의 실태와 시사점
-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교육 활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대한 경로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를 위한 교원양성기관의 역할과 과제 - 미국 사범대학 다중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교육대학교 재학생의 MBTI 성격 차원별 수업 효과, 수업 방식 및 피드백에 대한 인식
- 대용부설초등학교의 교육실습 운영 현황 및 과제 - 음악 교과를 중심으로
- 신국가 건설기 홍익인간 교육이념의 정립 과정에 대한 재고찰
- 미디어 문해력 관련 고등학교 고시 외 과목 교육과정 문서 분석
- 초등학생 실행기능의 수행 기반 측정과 평정 기반 측정 간 관계 분석
-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상담의 어려움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에듀테크 시대 국어 수업과 교사의 역할 탐구
- 포디프레임을 활용한 오르골 제작 경험이 예비교사의 융합교육 역량에 미치는 영향
- 학업적 맥락에서 초등학생의 문제행동 잠재프로파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