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국가 건설기 홍익인간 교육이념의 정립 과정에 대한 재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Hongik Human Educational Ideology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New State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송호정(Ho-jung Song)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1권 제1호, 219~23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기본 교육이념인 홍익인간 사상이 너무 포괄적이고 추상적임을 지적하고, 구체적이고 민주적인 새로운 교육이념의 필요성을 제기하기 위해 작성하였다.
연구방법 홍익인간 이념에 대한 많은 논문들을 검토하는 것을 기본으로, 홍익인간 사상이 들어있는 고전들의 내용을 검토함으로써 교육이념으로서 타당성을 입증하는 방식으로 서술하였다.
연구결과 해방 후 단군민족주의가 성행하는 분위기 속에서 단군신화 속의 홍익인간 사상이 대한민국의 교육이념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홍익인간 사상은 채택 당시부터 신화에 토대한 관념이고, ‘국민이 주인인 나라 건설’이라는 시대 과제에도 어울리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었다. 그 사상의 유래 또한 고려 후기 불교사상을 배경으로 나온 개념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21세기 대한민국의 교육이념이라면 보편적이고 민주적 가치라는 인류의 보편성을 아우르는 개념의 도출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홍익인간 교육이념을 이제는 새로운 이념으로 모색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21세기 대한민국의 교육이념이라면 보편적이고 민주적 가치라는 인류의 보편성을 아우르는 개념의 도출이 중요할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 고려 후기 불교사상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홍익인간 교육이념을 이제는 새로운 이념으로 모색해 보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prepared to point out that the basic educational ideology of Korea, Hongik Human Thought, is too comprehensive and abstract, and to raise the need for a concrete and democratic new educational ideology.
Methods: It has been described in a way that proves the validity of Hongik human thought as an educational ideology by reviewing many papers written on Hongik human and the contents of classics containing Hongik human thought.
Results: After liberation, the Hongik human idea in the Dangun myth became Korea's educational ideology in an atmosphere where Dangun nationalism was prevalent. However, since its adoption, there have been criticisms that the Hongik human idea is a concept based on myths and does not fit the task of the era of 'building a country where the people are the masters'. The review revealed that the concept originated from Buddhist thought in the late Goryeo Dynas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Hongik human educational ideology as a new ideology in that it is important to derive a concept that encompasses the universality of humanity, which is universal and democratic value, in the 21st century of Korea's educational ideology.
Conclusion: If it is the educational ideology of Korea in the 21st century, it will be important to derive a concept encompassing the universality of humanity of universal and democratic values. In this regard, I think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educational ideology of Hongik, which is based on Buddhist ideology in the late Goryeo Dynasty, as a new ideology.
목차
Ⅰ. 머리말
Ⅱ. 신국가 건설기 국사 교육의 열풍과 단군 민족주의
Ⅲ. 신국가 건설기의 교육이념과 홍익인간
Ⅳ. 단군신화 속 홍익인간 사상의 유래와 그 의미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 노벨엔지니어링을 활용한 사회과 AI 융합교육 사례연구
- 초등학생의 프레너미 관계(Frenemyship) 특성 분석
- 가치분석 수업모형의 적용 방안 탐색
- 맞춤형 한국어 교육의 실태와 시사점
-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교육 활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대한 경로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를 위한 교원양성기관의 역할과 과제 - 미국 사범대학 다중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교육대학교 재학생의 MBTI 성격 차원별 수업 효과, 수업 방식 및 피드백에 대한 인식
- 대용부설초등학교의 교육실습 운영 현황 및 과제 - 음악 교과를 중심으로
- 신국가 건설기 홍익인간 교육이념의 정립 과정에 대한 재고찰
- 미디어 문해력 관련 고등학교 고시 외 과목 교육과정 문서 분석
- 초등학생 실행기능의 수행 기반 측정과 평정 기반 측정 간 관계 분석
-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상담의 어려움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에듀테크 시대 국어 수업과 교사의 역할 탐구
- 포디프레임을 활용한 오르골 제작 경험이 예비교사의 융합교육 역량에 미치는 영향
- 학업적 맥락에서 초등학생의 문제행동 잠재프로파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