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디어 문해력 관련 고등학교 고시 외 과목 교육과정 문서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High school Non-National Curriculum Subject Documents for Media Literacy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장은주(Eun-ju Jang)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1권 제1호, 237~26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문해력 관련 고등학교 고시 외 교육과정 문서의 특성을 분석하고, 고시 외 과목을 통한 미디어 문해력 교육의 내실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미디어 문해력 관련 고등학교 고시 외 과목 교육과정 문서 5개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미디어 문해력의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빈도 분석, 의미연결망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들 과목에서는 목표의 위계가 불명료하게 진술된 경우가 있었으며, 교수학습 및 평가에 관한 내용이 부족한 편이었다. 성취기준은 미디어 언어, 재현, 제작, 수용자 등 핵심 개념을 포함하고 있으나, 개념 이해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 미디어 문해력 관련 고등학교 고시 외 과목은 학생의 과목 선택권을 확대하고 미디어 문해력 교육을 집중적, 전문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므로 뉴스, 저널리즘, 광고 등을 중심으로 관련 분야를 구체화하고, 교육 목표를 명료화하고, 학습활동의 실천적 요소를 보완해야 한다. 그리고 과목 고시 관련하여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을 높이고, 과목 운영의 내실화를 위해 지역 자원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non-national high school curricula addressing media literacy and propose strategies to enhance their effectiveness in fostering media literacy education.
Methods: Five non-national high school curriculum documents related to media literacy, officially approved by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were analyzed. The study employed frequency analysi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core media literacy concepts.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ambiguities in the articulation of course objectives and identified a lack of content related to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strategies. While achievement standards encompassed key media literacy concepts such as media language, representation, production, and audience, an overemphasis on conceptual understanding was observed at the expense of practical application.
Conclusion: Non-national curriculum subjects expand students' course options and provide valuable opportunities for specialized media literacy education. To optimize their potential, content areas such as news and journalism should be developed, educational objectives clarified, and practical learning activities enhanced. Furthermore, strengthening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and fostering collaborations with local resources are essential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se cours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 노벨엔지니어링을 활용한 사회과 AI 융합교육 사례연구
- 초등학생의 프레너미 관계(Frenemyship) 특성 분석
- 가치분석 수업모형의 적용 방안 탐색
- 맞춤형 한국어 교육의 실태와 시사점
-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교육 활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대한 경로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를 위한 교원양성기관의 역할과 과제 - 미국 사범대학 다중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교육대학교 재학생의 MBTI 성격 차원별 수업 효과, 수업 방식 및 피드백에 대한 인식
- 대용부설초등학교의 교육실습 운영 현황 및 과제 - 음악 교과를 중심으로
- 신국가 건설기 홍익인간 교육이념의 정립 과정에 대한 재고찰
- 미디어 문해력 관련 고등학교 고시 외 과목 교육과정 문서 분석
- 초등학생 실행기능의 수행 기반 측정과 평정 기반 측정 간 관계 분석
-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상담의 어려움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에듀테크 시대 국어 수업과 교사의 역할 탐구
- 포디프레임을 활용한 오르골 제작 경험이 예비교사의 융합교육 역량에 미치는 영향
- 학업적 맥락에서 초등학생의 문제행동 잠재프로파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