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대학교 재학생의 MBTI 성격 차원별 수업 효과, 수업 방식 및 피드백에 대한 인식

이용수 0

영문명
Perceptions of Class Effectiveness, Teaching Methods, and Feedback Based on MBTI Personality Dimensions among Students at a University of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정영숙(Yung Suk Jung)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41권 제1호, 167~19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1.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재학생들의 MBTI 성격 유형에 따라 수업 효과 인식, 수업 방식 선호도 및 피드백 인식에서의 차이를 분석하여, 성격 유형 기반의 맞춤형 교육 설계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MBTI 성격 유형과 수업 관련 인식을 측정하였으며, 독립 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그룹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수업 효과 인식을 분석한 결과, 사고형 학습자들은 감정형 학습자보다 수업 구상 능력 향상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직관형 학습자들은 감각형 학습자보다 수업 설계 능력 향상을 더 높게 인식하였다. 수업 방식 선호도를 살펴보면, 감정형 학습자들은 수업 실연 횟수의 증가를 선호한 반면, 사고형 학습자들은 실연의 구조와 논리적 평가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피드백 인식에서는 외향형 학습자들이 내향형 학습자보다 수업 실연에 대한 교수와 동료 피드백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사고형 학습자들은 자신이 진행한 수업 실연과 수업 지도안에 대한 교수 피드백을 감정형 학습자보다 더 유용하다고 여겼다. 결론 본 연구는 MBTI 성격 차원이 교육적 맥락에서 학생 맞춤형 학습 설계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향후 연구에서 학업 동기 및 목표 지향성 등 추가적인 요인을 포함하여 보다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amines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class effectiveness, teaching method preferences, and feedback recognition based on MBTI personality types, aiming to explore the feasibility of personalized education design. Methods: An online survey assessed MBTI personality types and class-related perceptions, and group differences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s. Results: Thinking-type learners viewed improvements in lesson planning ability more positively than Feeling-type learners, while Intuitive learners had a more favorable perception of improvements in lesson design ability compared to Sensing learners. Feeling-type learners preferred an increased number of English microteaching sessions, whereas Thinking-type learn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tructure and logical evaluation. Extroverted learners rated feedback from the instructor and peers more positively than Introverted learners did, and Thinking-type learners found the instructor’s feedback on English microteaching sessions and lesson plans more helpful than Feeling-type learners did.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MBTI personality types can inform personalized learning designs and calls for further research including factors like academic motivation and goal orient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영숙(Yung Suk Jung). (2025).교육대학교 재학생의 MBTI 성격 차원별 수업 효과, 수업 방식 및 피드백에 대한 인식. 교원교육, 41 (1), 167-194

MLA

정영숙(Yung Suk Jung). "교육대학교 재학생의 MBTI 성격 차원별 수업 효과, 수업 방식 및 피드백에 대한 인식." 교원교육, 41.1(2025): 167-1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