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벨엔지니어링을 활용한 사회과 AI 융합교육 사례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Case Study on the Convergence Education of Social Studi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ontents based on Nobel Engineering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오세라(Sera Oh)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41권 제1호, 29~5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1.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회과 AI 융합교육 필요성을 논의하고, 노벨엔지니어링을 활용한 사회과 AI 융합교육 사례를 제시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중학교 사회교과 내용인 ‘문화’ 영역의 ‘대중매체’ 내용요소를 선정하여 미디어리터러시를 주제로 노벨엔지니어링 수업을 계획하였다. 뉴미디어 등장으로 인한 혼란상과 그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 책 [유튜브에 빠진 너에게: 인스타그램부터 가짜뉴스까지, Z세대를 위한 미디어 수업]을 읽고 SNS상의 잘못된 정보를 판별해 주는 ‘SNS 필터 페이지’를 엔트리 블록코딩을 활용해 제작하는 교수학습 활동을 하였다. 연구결과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AI 등장으로 인한 매체사용의 변화를 AI와 인간의 상호작용 관점에서 성찰하고, 그로인한 문제를 코딩을 활용하여 AI 프로그램을 설계해 봄으로서 해결하였다. 학생들은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통해 의사소통능력, 협동능력, 공동체에 기여하는 능력 등을 기를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미래교육에 대한 논의가 심화되면서 일반교과에도 AI를 활용한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현 시점에서 사회교과와 AI교육의 융합을 시도한 사례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necessity of AI-integrated education in social stud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presents a practical case of implementing such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Nobel Engineering. Methods: Nobel Engineering classes were planned under the theme of media literacy by selecting the content elements of the 'popular media' in the 'culture' area, which is the content of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After reading the book “To You Who Fell Into YouTube: Media Class for Generation Z,” which suggested confusion and solutions to the emergence of new media, they conducted a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using entry block coding to produce an “SNS filter page” that determines incorrect information on SNS. Results: Through the activities, students reflected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change in media use due to the emergence of AI in terms of AI and human interaction. And the resulting problem was solved by designing an AI program using coding. Students were able to develop communication skills, cooperation skills, and the ability to contribute to the community through the experience of solving problems in cooperatio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n example of an attempt to combine social studies and AI education at a time when the need for education using AI is raised in general subjects as discussions on future education deepe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사회과 AI 융합교육의 실제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세라(Sera Oh). (2025).노벨엔지니어링을 활용한 사회과 AI 융합교육 사례연구. 교원교육, 41 (1), 29-50

MLA

오세라(Sera Oh). "노벨엔지니어링을 활용한 사회과 AI 융합교육 사례연구." 교원교육, 41.1(2025): 29-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