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2 개정 통합사회 교육과정 및 문항 분석을 통한 역사 영역 적용 검토와 개선 방안

이용수 57

영문명
2022 Revised Integrated Social Curriculum and Question Analysis to Review and Improve the Application of History Area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신소연(So Yeoun Shi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551~57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현행 통합사회 교과에 역사 영역이 적용되고 있는 양상을 검토하여 2028년 이후 통합사회 수능 문항 출제 과정에서 역사 영역을 통합적 관점 하에 실질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마련하려는 목적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2 개정 통합사회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과 2023학년도 전국연합학력평가 통합사회 평가 문항을 분석하였다. 통합사회 교과서의 서술 분석이 필수적이나 발간 전이므로 2015 개정 통합사회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현행 교과서를 활용하였다. 2015·2022 개정 통합사회 교육과정은 현장의 상황을 고려하여 변화의 폭을 최소화하였으므로 현행 교과서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무리가 없다는 판단이다. 결과 2022 개정 통합사회 교육과정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과 교과서에는 역사 영역이 상당 부분 반영되어 있었으나 전국연합학력평가 문항에는 사실상 반영되고 있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가장 큰 원인은 통합사회 과목에 대한 역사과의 관심의 부족함으로 생각되지만 수능 필수 한국사로 인하여 통합사회 과목에서 역사 영역이 약화되는 것이 당연하다고 보는 일각의 견해도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결론 통합사회 수능 문항에 역사 영역을 적용하기 위해 역사 영역이 포함된 성취기준 분석 및 양질의 평가 내용 요소 추출 방식을 모색하는 동시에 적합한 문항 유형을 개발해야 한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통합사회 교과에 현재 역사과에서 논의가 활발한 민주시민 양성 및 논쟁성, 생태환경사 등의 내용을 타 교과와는 차별적인 역사과의 관점에서 적용하는 방안을 궁구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urrent application of the history domain to the integrated society subject and prepare a plan to apply the history domain practically under an integrated perspective in the process of questioning the integrated society SAT after 2028. Methods To this end,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integrated society cur-riculum and the items of the 2023 National Federation Academic Assessment Integrated Society Evaluation were analyzed. Results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integrated social curriculum reflected a large part of the historical domain, but they were not actually reflected in the questions of the National Union's academic evaluation. Conclusions In order to apply the historical domain to the integrated society SAT questions,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analyze achievement standards and extract evaluation content elements, develop appropriate question types, and ultimately seek ways to apply the contents of democratic citizenship, controversy, and ecological envi-ronmental history, which are actively discussed in the current history department,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목차

Ⅰ. 서론
Ⅱ. 통합사회 교육과정 및 평가 문항분석을 통한 역사 영역 내용 추출
Ⅲ. 통합사회 수능 문항에 대한 역사과 내용 포함 방안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소연(So Yeoun Shin). (2024).2022 개정 통합사회 교육과정 및 문항 분석을 통한 역사 영역 적용 검토와 개선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0), 551-570

MLA

신소연(So Yeoun Shin). "2022 개정 통합사회 교육과정 및 문항 분석을 통한 역사 영역 적용 검토와 개선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0(2024): 551-5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