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차세대 자격증 제도 탐색을 통한 우리나라 고교 학점 운영 및 졸업 제도의 방향성 탐색 연구

이용수 20

영문명
A Study on the Direction of Korea's High School Credit and Graduation System by Exploring the Next Generation Certificate System: Based on the New Zealand NCEA syste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선영(Sunyoung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83~10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차세대 자격증 제도로서, 고교수준 국가 인증성취 제도 NCEA를 도입하여 운영하는 뉴질랜드의 사례를 통해, 이 제도의 특징과 쟁점을 이해하고 이것이 우리나라의 고교 학점 운영 및 졸업 제도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NCEA 제도의 세부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이때 뉴질랜드의 자격관리기관 NZQA 비롯한 주요 사이트에 탑재된 내용 및 주요 문서를 확인하였다. 해당 내용을 NCEA의 목적, 방법, 수단 등을 핵심 주제로 하여 내용을 정리하고, 이후 빈도성에 따른 서열화, 비중 정도에 따라 추가 하위 주제를 선별하고 이에 따라 내용을 다시 정리하였다. 결과 NCEA 제도는 졸업생 프로필이라는 이름으로 된 성공 비전의 수립과 이를 바탕으로 한 형평성의 실천, 적재적소의 인재 배치 등의 목적을 추구하였다. 이 목적의 추구를 위해 학생 개인별 유연한 학습 경로의 설계, ‘시간’이 아닌 ‘능력’ 중심의 학점 이수와 자격 취득 시스템 구축, ‘증거제시형 누적형’, ‘미래지향형··오픈형’ 방식의 성적기록 방식을 도입하였다. 그러나 NCEA 속에 여전히 존재하는 등급 체계, 성적기록 시스템인 ROA의 논리성 부재, 문해력과 수리력에 대한 압력의 증가 등은 해결해야 할 난제로 남아있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역시도 새로운 성적 기록 장치의 고안, 시간에서 능력기반의 학점 취득을 위한 제도 재정비, 학점을 매개체로 한 평가 시스템 구축, 고등학교의 졸업 제도와 국가적 자격증 제도와의 연계, 고등학교 졸업 자격의 국가 간 상호인정 대비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issues of this system through the case of New Zealand, which introduces and operates NCEA as a next-generation certification system, and to present implications for Korea's high school credit management and graduation system. Methods To confirm the NCEA system's details, the contents and major documents posted on major sites, includ-ing the NZQA, New Zealand's qualification management officer, were checked. At this time, the contents were or-ganized with the purpose of NCEA, key methods, means as the core topics, and additional sub-them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frequency and weight, and the contents were reorganized accordingly. Results The NCEA system pursued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successful vision named graduate profile, prac-ticing equity based on it, and allocating human resources correctly. To pursue this purpose, a flexible learning path for each student was designed, a credit completion and qualification acquisition system centered on ‘ability’ rather than ‘time’ was established, and a ‘evidence presentation/accumulation type’ and ‘future-oriented/open type’ grade recording method were introduced. However, the NCEA still exists in the NCEA, the lack of logic in the form of ROA, and the increase in pressure on literacy and numeracy remain challenges to be solved.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a new transcript of school records, a system reorganized to acquire com-petency-based credits in time, an evaluation system based on credits as a medium, a link between high school graduation systems and national certification systems, and a preparation for mutual recognition of high school graduation qualifications between countr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뉴질랜드 차세대 자격증 제도 NCEA의 내용과 특징
Ⅳ. 뉴질랜드 NCEA 제도의 쟁점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영(Sunyoung Kim). (2024).차세대 자격증 제도 탐색을 통한 우리나라 고교 학점 운영 및 졸업 제도의 방향성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0), 83-102

MLA

김선영(Sunyoung Kim). "차세대 자격증 제도 탐색을 통한 우리나라 고교 학점 운영 및 졸업 제도의 방향성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0(2024): 83-1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