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90

영문명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신유진(Youjin Shin) 정혜원(Hyewon Ch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629~64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을 매개효과로 중학생이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18년 이후로 진행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 4차년도(2021년) 2,275명의 응답자료를 활용하였고, 주요 변인들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과 각 경로의 직·간접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중학생이 인식한 사회적 지지 중 교사 지지는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 중 친구 지지는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도에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사회적 지지 중 부모 지지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중학생이 된 학생들이 부모와의 관계에서 나아가 학교에서 마주하는 교사와 친구관계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 중학생이 인식한 사회적 지지 중 교사 지지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라는 것과 친구 지지는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그리고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인 관계를 확인하고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reveals, from a middle school student perspective, the social support from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as well a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Moreover, it explores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to Wave 4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KCYPS 2018) data set(7th grade, N = 2,275),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 suppor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direct and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friend suppor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dicating a complete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on life satisfaction. Third, parents suppor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life satisfaction, suggesting that middle school students may be more influenced by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friends than by their relationships with parents.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s the significant impact of teacher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friend support on self-esteem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t is significant in confirm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유진(Youjin Shin),정혜원(Hyewon Chung). (2024).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0), 629-644

MLA

신유진(Youjin Shin),정혜원(Hyewon Chung).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0(2024): 629-6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