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마을교육 생태계 조성을 위한 서울시 초·중등 마을결합형학교 운영사례 분석 및 함의

이용수 35

영문명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operational cases of village-linked elementary and secondary level schools in Seoul for the creation of village education ecosyste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영희(Young Hee Lee) 박시현(Sy Hyun Par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195~21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서울시 초·중등 마을결합형학교의 2015년부터 2020년까지 학교 운영 사례 분석함으로써 혁신교육에서 추구하는 정책이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에 대한 특징을 탐색하고 새로운 공교육의 패러다임으로 제시할 수 있는 마을교육생태계 구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내외의 다양한 문헌 분석을 통해 개발된 5가지 영역의 분석 틀(framework)을 기반으로 2015년부터 2020년까지의 서울 초·중등 마을결합형학교 운영 결과 보고서 총 40개를 대상으로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수행하였다. 5가지 분석 영역은 1) 존엄교육과 학교자치 기반 학교문화 조성, 2) 마을결합형학교 운영 조직 및 시스템 구축, 3) 도전과 배움의 확장을 위한 교육과정 및 수업 혁신, 4) 지역사회와 연계한 혁신적 학교 운영 활동, 5) 미래 교육 기반 학생성장 진단 및 사회적 공유이며 서울시 마을결합형학교 운영결과보고서에 나타난 각 영역별 현황 및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과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결합형학교의 철학과 비전 공유를 위한 소통과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는 인식은 있었지만, 학교 자치 기반 학교 문화 조성이 추진된 학교는 많지 않았다. 둘째, 대부분 학교에서 학교 전체 교원이 참여하는 마을결합형학교운영 조직 및 시스템 구축에 한계가 있었다. 셋째,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 정규 교육과정의 재구성보다는 일회성의 체험 프로그램 위주로 진행되어 마을결합형학교 교육과정의 연속성을 찾기 어려웠으며, 학생 주도성과 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 및 수업혁신 사례가 부족하였다. 넷째, 지역사회와 연계한 학교 운영 활동에서는 일부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적 관계를 강화하고자 노력하였지만, 학생, 학부모, 교원 및 지역사회 인사 등 교육 4주체들의 주체적인 역할이 거의 드러나지 않았다. 다섯째, 대부분의 운영결과 보고서에 나타난 학생성장 진단 및 사회적 공유를 위한 노력은 미흡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마을결합형학교의 효과적인 운영 및 교육적 가치 구현을 위해서 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5가지 영역 기반의 이해를 중심으로 학교내외의 체계적 협력을 위한 구조화 및 영역 간 긴밀한 연계 작동이 필요하다. 둘째, 구성원들의 마을결합형학교의 철학과 교육적 가치에 대한 충분한 학습과 지속적 운영이 중요하다. 셋째, 마을교육생태계 조성이라는 교육 패러다임을 통하여 실질적 학생성장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과 수업 혁신의 방안과 노력을 구체화하고, 학생평가를 통한 지속적 진단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ases of village-linked schools’ operation report that were operated in elementary and secondary level schools between 2015 year and 2020 in Seoul ito identify the features and implications of village-linked schools policy. Methods The conceptual framework of analysis was developed to analyze the village-linked schools’ operation reports and then examine the 40 reports of schools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s. Results First, the village-linked schools appear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philosophy and visions of vil-lage-linked schools but they were unable to create the circumstance and cultures of schools for the task. Second, most schools only set up a task-force team with just several staff members for village-linked school activities showing limitations to construct an effective system and organization for the task. Third, the curriculum and les-sons for village-linked schools were limited to foster the students’ competency and achievement of study. Fourth, the schools tried to share their resources with the village but encountered leadership role limitations in the village. Fifth, most village-linked schools didn’t make an effort to assess students’ competencies and share their achievement. They need to emphasize and share the students’ positive results and achievements obtained by this task with society. Conclusions First, the operation and system based on the five main divisions of village-linked schools that were utilized for this analysis need close and effective cooperation to succeed and reach the goals of the policy. Second, the people in the schools need to understand the philosophy and values of village-linked schools and then to maintain the operation for many years. Third, most importantly the effective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and the innovation of lesson and assessment of students’ achievement also should be conducted to succeed the new educational paradigm of village-linked schoo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희(Young Hee Lee),박시현(Sy Hyun Park). (2024).마을교육 생태계 조성을 위한 서울시 초·중등 마을결합형학교 운영사례 분석 및 함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0), 195-213

MLA

이영희(Young Hee Lee),박시현(Sy Hyun Park). "마을교육 생태계 조성을 위한 서울시 초·중등 마을결합형학교 운영사례 분석 및 함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0(2024): 195-2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