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41
- 영문명
- A Study of a Writing Extracurricular Program on University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도수정(SooJung Do) 송나리(Naree S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475~49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소통역량을 함양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각 요인에 따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대학의 핵심역량 진단도구 중 소통역량 척도를 기준으로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소통역량 함양에 미치는 요인별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S대학에서 2022년 10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된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재학생 9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여 전후의 소통역량 변화를 문항별, 성별, 학년별, 단과대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일반적 특성별로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IBM SPSS 21.0을 활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 반복측정 분산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소통역량 변화는 문항별, 일반적 특성 중 성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학년과 단과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둘째,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일반적 특성(성별, 학년, 단과대)에 관계 없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소통역량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모든 학생에게 균일한 효과를 제공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대학 교육에서 학생들의 소통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및 비교과 프로그램의 중요성이 강조됨과 동시에, 프로그램의 장기적인 효과, 다양한 학습 스타일에 대한 적합성 그리고 다른 교육적 맥락에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act of a writing extracurricular program on university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scale items and the program satisfaction items by background variables to utilize the findings as foundational data for program improvement.
Methods Ninety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writing extracurricular program from October 2022 to December 2022 were targeted for analyzing changes in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The program satisfaction by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majors or genders was survey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BM SPSS 21.0, employing paired-sample t-tests, repeated meas-ures ANOVA, independent-sample t-tests, and one-way ANOVA.
Results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changes by items and background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y years and departments. Additionally, the program satisfac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genders, years, and departments.
Conclusions The writing extracurricular program positively influenced the university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provided uniform benefits to all students.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program development for enhancing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in university education. Further research on the long-term effects of the program, its suitability for various learning styles, and its applic-ability in different educational contexts is recommen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0호 목차
- 중등교사 역량 및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초임교사의 인식 연구
- 간호대학생의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활용 역량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자 주도성(Student Agency)을 기반한 창의적 문제해결수업에 참여한 대학생의 학습자 주도성의 발달과정과 미래창의융합역량함양에 관한 혼합연구
- 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편성·운영·재구성을 제약하는 사항과 제약의 원인 연구
- 청소년기 한국문화 접촉 경험이 한국어 학습 지속 동기와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장애인운동선수이미지와 장애수용태도 및 사회성의 관계
- 대학 교양수업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 요인 분석
- 포디프레임을 활용한 오르골 제작과 창의적 활동을 포함한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 인지행동치료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자연 친화적 교수 태도와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의 요인 연구
- 차세대 자격증 제도 탐색을 통한 우리나라 고교 학점 운영 및 졸업 제도의 방향성 탐색 연구
- 예비 영유아교사의 모의수업 불안에 관한 연구
- 위기의 시대 공생과 어울림의 교육철학
- 장애·비장애학생 그리고 느린학습자의 통합과 소통을 위한 찾아가는 버스킹(퓨전 합창) 사례연구
- 초등학생용 수행형 디지털 리터러시 온라인 평가도구 개발
- 신규위탁 원장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에서의 공공성 저해 요인 탐색
- 유치원 교사의 놀이전문성과 놀이지원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
- 지역사회 문제 해결형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디지털 리빙랩의 활용 방안 연구
- 조절초점과 진로 변인의 상관관계에 관한 동향 연구와 메타분석
- 이야기 만들고 공유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경험 탐색
-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임상수행능력, 학업 스트레스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의과대학생이 평가한 자신과 동료 학생의 학습윤리의식 분석
- 청소년의 인공지능 및 디지털 윤리 문제와 교육방안 고찰
- 비대면 화상 집단상담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ImageTale 앱을 활용한 구조화 집단상담 참여 경험
- 영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효능감, 교사전문성의 관계 및 경력에 따른 비교
-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정서조절 및 사회성 향상을 위한 ETC 기반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의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 경험과 교육적 의미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방어기제유형의 매개효과
- 중국 특수교사의 전문성 자질 인식
- 2022 개정 통합사회 교육과정 및 문항 분석을 통한 역사 영역 적용 검토와 개선 방안
- The Influence of Social Context on EFL Learners’ Identity Construction: A Case Study of Three College Students in Jeju
- 병리적 자기애와 관계중독의 관계
- 응급실 신규간호사의 응급간호 역량별 교육 요구도 분석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실습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의 관계
- 베트남 대학 한국어 전공 학습자의 기계번역 포스트에디팅 양상 연구
-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본 교사-부모 관계에 관한 영유아교사의 경험
- 초등교사의 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특성 탐색
- 성별에 따른 미혼 청년의 결혼의향 요인 연구
- 간호대학생이 인식한 남자간호사 이미지 유형 분석
- 마을교육 생태계 조성을 위한 서울시 초·중등 마을결합형학교 운영사례 분석 및 함의
- 디지털 헬스 프로그램이 국내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유용성 인식 및 교수효능감과 상호작용 실행과의 관계
- 한국 청소년의 문화·예술경험과 정의적 성취
-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