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자 주도성(Student Agency)을 기반한 창의적 문제해결수업에 참여한 대학생의 학습자 주도성의 발달과정과 미래창의융합역량함양에 관한 혼합연구
이용수 351
- 영문명
- A Mixed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Learners' Initiative and Future Creative Fusion Capabilities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Creative Problem Solving Classes Based on Student Agen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현희(Hyun Hee Park) 곽민정(Minjung Kwa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167~18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습자 주도성(Student Agency)을 기초로 한 창의적 문제해결력수업에서 학습자 주도성(Student Agency)발달과정과 미래창의융합역량의 함양을 혼합연구방법으로 알아보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질적자료수집은 15주간의 참여학습자로부터 생성된 수업성찰, 수업과제 결과물, 교수자 면담, 동료평가지 등이다. 수집된 자료의 분량은 A4용지 683장이였으며 줄분석방법(Line by line analysis)을 활용하였다. 질적연구를 지지하고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양적자료 수집도 진행하였는데 박현희, 곽민정(2023)의 미래창의융합인재역량의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전문가 타당도를 통해 본 연구에 맞는 문항만을 활용하여 15주간 수업의 사전-사후로 미래창의융합역량을 측정을 하였다. 수집된 양적자료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질적자료 분석결과 세가지 핵심주제 ‘학습자 주도성 이해와 발휘’, ‘소통과 협력의 실천’, ‘평생학습자로서의 지속적인 성찰 인식 으로 범주화되었다’.양적 자료 분석의 결과학습자 , 주도성에 기초한 창의적문제해결력 교과목을 수강신청한 대학생들의 미래창의융합역량은 함양되었음을 검증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미래를 위한 핵심교육역량인 학습자 주도성에 기초한 창의력문제해결수업은 수강한 미래창의융합역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핵심 주제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팀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학습자 주도성이 함양되는 수업이 수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결과에 대한 논의와 연구의 한계점 시사점,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process of learner initiative(student agen-cy) and the cultivation of future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in creative problem solving class based on learner initiative(student agency) and to explore implications.
Methods The qualitative data was collected from 15 weeks of class reflection, class project results, teacher inter-views, peer evaluation papers, etc. The amount of collected data was 683 sheets of A4 paper and line by line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support and supplement qualitative research, quantitative data collection was also conducted. Based on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future creative convergence talent competency by Park Hyun-hee and Kwak Min-jung (2023), future creative convergence measurement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15-week class using questions suitable for this study through expert validity.The collected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 statistical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it was categorized into three core themes ⁇ understanding and demonstrating learner initiative, practicing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nd ⁇⁇recognizing continuous re-flection as a lifelong learner.As a result of quantitative data analysis, it was verified that the future creative con-vergence ability of college students who applied for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course based on learner initiative was cultivated.
Conclusion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 creativity problem solving class based on the learner ini-tiative, which is the core educational capacity for the future, has a high level of convergence ability of future crea-tivity, which is related to the core them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class in which the learner initiative is culti-vated through the team project activity was performed.Through this, discussions on the results, implications of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0호 목차
- 중등교사 역량 및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초임교사의 인식 연구
- 간호대학생의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활용 역량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자 주도성(Student Agency)을 기반한 창의적 문제해결수업에 참여한 대학생의 학습자 주도성의 발달과정과 미래창의융합역량함양에 관한 혼합연구
- 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편성·운영·재구성을 제약하는 사항과 제약의 원인 연구
- 청소년기 한국문화 접촉 경험이 한국어 학습 지속 동기와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장애인운동선수이미지와 장애수용태도 및 사회성의 관계
- 대학 교양수업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 요인 분석
- 포디프레임을 활용한 오르골 제작과 창의적 활동을 포함한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 인지행동치료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자연 친화적 교수 태도와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의 요인 연구
- 차세대 자격증 제도 탐색을 통한 우리나라 고교 학점 운영 및 졸업 제도의 방향성 탐색 연구
- 예비 영유아교사의 모의수업 불안에 관한 연구
- 위기의 시대 공생과 어울림의 교육철학
- 장애·비장애학생 그리고 느린학습자의 통합과 소통을 위한 찾아가는 버스킹(퓨전 합창) 사례연구
- 초등학생용 수행형 디지털 리터러시 온라인 평가도구 개발
- 신규위탁 원장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에서의 공공성 저해 요인 탐색
- 유치원 교사의 놀이전문성과 놀이지원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
- 지역사회 문제 해결형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디지털 리빙랩의 활용 방안 연구
- 조절초점과 진로 변인의 상관관계에 관한 동향 연구와 메타분석
- 이야기 만들고 공유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경험 탐색
-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임상수행능력, 학업 스트레스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의과대학생이 평가한 자신과 동료 학생의 학습윤리의식 분석
- 청소년의 인공지능 및 디지털 윤리 문제와 교육방안 고찰
- 비대면 화상 집단상담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ImageTale 앱을 활용한 구조화 집단상담 참여 경험
- 영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효능감, 교사전문성의 관계 및 경력에 따른 비교
-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정서조절 및 사회성 향상을 위한 ETC 기반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의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 경험과 교육적 의미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방어기제유형의 매개효과
- 중국 특수교사의 전문성 자질 인식
- 2022 개정 통합사회 교육과정 및 문항 분석을 통한 역사 영역 적용 검토와 개선 방안
- The Influence of Social Context on EFL Learners’ Identity Construction: A Case Study of Three College Students in Jeju
- 병리적 자기애와 관계중독의 관계
- 응급실 신규간호사의 응급간호 역량별 교육 요구도 분석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실습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의 관계
- 베트남 대학 한국어 전공 학습자의 기계번역 포스트에디팅 양상 연구
-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본 교사-부모 관계에 관한 영유아교사의 경험
- 초등교사의 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특성 탐색
- 성별에 따른 미혼 청년의 결혼의향 요인 연구
- 간호대학생이 인식한 남자간호사 이미지 유형 분석
- 마을교육 생태계 조성을 위한 서울시 초·중등 마을결합형학교 운영사례 분석 및 함의
- 디지털 헬스 프로그램이 국내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유용성 인식 및 교수효능감과 상호작용 실행과의 관계
- 한국 청소년의 문화·예술경험과 정의적 성취
-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생성형 AI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의 교수학습 프레임워크 개발
-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시기별 과목군별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 환경도서를 활용한 초등학교 기후정의 교육 내용 요소 구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