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효능감, 교사전문성의 관계 및 경력에 따른 비교

이용수 30

영문명
Comparis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leadership, teacher efficacy, relationship with teacher professionalism, and experienc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성은(Sungeun Jung) 강순희(Soonhee Ka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571~581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셀프리더십, 교사효능감, 교사전문성으로 구성된 연구모형을 분석하고, 경력에 따른 비교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교사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시사점을 논의하는 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방법 연구대상은 울산시와 경북 지역 영유아교육기관에 재직중인 영유아교사 2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SPSS 26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인구학적 특성, 주요변수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기술통계분석, 주요변수 간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한 Pearson 상관관계분석, 연구모형 검증을 위한 Baron &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매개효과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영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은 교사효능감, 교사전문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교사효능감 역시 교사전문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셀프리더십과 교사전문성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경력에 따른 비교분석 결과,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 중 인지적 요소가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10년 미만에서 유의하였고, 10년 이상 고경력 교사들에게서는 직접 효과보다는 교사효능감을 매개하여야 유의해짐을 확인하였다. 결론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교사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셀프리더십,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교육이 필요함을 논의하였고, 특히 경력에 따라 교사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예측요인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전문성 향상 교육에 있어 경력에 따른 차별화된 개입이 요구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 consisting of self-leadership,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professionalism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discuss vari-ous implications for enhancing teacher professionalism by conducting comparative analysis according to experience. Method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data from a survey of 275 infant and toddler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Ulsan and Gyeongbuk region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key variables using the SPSS 26 program. ,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o identify correlations between key variables, and a three-stage mediation effect analysis suggested by Baron & Kenny (1986)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were conducted. In addition, a Sobel-tes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Result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leadership had a sta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eacher efficacy also had a static effect on teacher professionalism.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teacher professionalism.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according to experie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cognitive factors on teacher professionalism among the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was significant in those with less than 10 years, and that it was significant in teache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when teacher efficacy was mediated rather than direct effect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discussed the need for various programs and educa-tion that can enhance self-leadership and teacher efficacy in order to enhance teacher professionalism, an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dictors that can increase teacher professionalism may vary depending on experience, so it is suggested that differentiated interventions according to career are required in professional im-provement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성은(Sungeun Jung),강순희(Soonhee Kang). (2024).영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효능감, 교사전문성의 관계 및 경력에 따른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0), 571-581

MLA

정성은(Sungeun Jung),강순희(Soonhee Kang). "영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효능감, 교사전문성의 관계 및 경력에 따른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0(2024): 571-5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