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절초점과 진로 변인의 상관관계에 관한 동향 연구와 메타분석

이용수 32

영문명
Regulatory Focus and Career-Related Variables: A Research Trends and Meta-Analysi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경은(Kyung-Eun Kim) 안지영(Jeeyoung Ahn) 민예슬(Yeseul Mi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773~79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조절초점을 주제로 발표된 국내·외 진로 연구들의 연구 동향을 살피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조절초점과 관련있는 진로 변인의 상관관계 메타분석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23년 사이 발표된 국내외 연구물들 중에서 Higgins(2000)의 조절초점이론을 바탕으로 진로 관련 변인에 대해 연구한 논문들의 동향을 살펴보고, 개별연구들의 양적 연구 결과를 상관계수 효과크기를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조절초점과 관련 있는 진로 변인으로 선정된 변인들을 맥락, 성격, 성과, 욕구, 인지, 정서, 행동으로 7개 범주로 구분해 본 결과, 행동, 성과, 맥락, 인지, 정서, 욕구, 성격 순으로 많이 활용되었다. 또한 조절초점과 관련 있는 진로변인들의 상관관계가 예방초점에 비해 향상초점에서 보다 강하게 나타났고, 향상초점이 예방초점에 비해 긍정적인 진로변인들과 보다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향상초점의 개인에게는 먼저 목표 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강점을 활용하도록 격려하는 것이 효과적이리라 예상된다. 또한 예방초점의 개인에게는 개인특성에 대한 이해에 앞서 손실을 초래할 수 있는 환경적 맥락을 파악하고,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하도록 조력하는 것이 효과적이리라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in career-related research on the theme of regulatory focus by examining the studies conducted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to present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between regulatory focus and its associated career variables based on these findings. Methods For this aim, the trends in studies on career-related variables based on Higgins' regulatory focus theory from 2000 to 2023 investigated. It also conducted a meta-analysis based on the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of individual career studies, focusing on the regulatory focus. Results The career variables related to the regulatory focus are frequently utilized in the order of behavior, out-come, context, cognition, emotion, motivation, and personalit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omotion focus and career variables was found to be stronger than that between the prevention focus and career variables. Moreover, the promotion focus was found to have a stronger correlation with positive career variables than the prevention focus. Conclusions We offered implications that to lead the regulatory fit in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It is effec-tive to encourage individuals with an promotion focus to first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utilize their strengths related to their goals. Additionally, for individuals with a prevention focus, it is beneficial to initially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al possibilities that may result in losses, and then to establish concrete strategies to minimize these losses while enhancing their understanding of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은(Kyung-Eun Kim),안지영(Jeeyoung Ahn),민예슬(Yeseul Min). (2024).조절초점과 진로 변인의 상관관계에 관한 동향 연구와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0), 773-791

MLA

김경은(Kyung-Eun Kim),안지영(Jeeyoung Ahn),민예슬(Yeseul Min). "조절초점과 진로 변인의 상관관계에 관한 동향 연구와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0(2024): 773-7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