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의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 경험과 교육적 의미

이용수 35

영문명
The Experiences of Small-Siz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fter-School Sports Activities and Their Educational Significanc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태현(TaeHyeon Lee) 박재정(JaeJeong Par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405~42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의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 경험과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2023년 3월부터 7월까지 1학기 동안 한 소규모 초등학교의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에 참여한 3~6학년 학생 6명을 대상으로 참여관찰, 심층면담, 문서자료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고, 삼각검증법, 동료 간 협의, 연구 참여자 확인을 통해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결과 소규모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에 대한 학생의 경험은 ‘소규모 학교 체육의 불씨 살리기’로 학생들은 담임교사의 준비가 미흡한 체육수업으로 인해 흥미를 상실하고 있었다. 이에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은 부족한 신체활동을 충족하고 돌봄공백을 채워주는 기능을 하며 즐거운 여가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과 자아실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교육적 의미는 공교육의 횃불 밝히기‘’로 합동 수업 형태의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은 학년 간의 교류를 촉진하였으며 선후배 간에, 상호학습과 동기부여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사교육비 절감 및 공교육의 신뢰감 회복과 더불어 폭넓은 체육 경험을 제공하였다. 결론 소규모 초등학교의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차원에서 성장과 발전의 기회를 제공하므로 소규모 초등학교의 체육활동 활성화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fter-school sports activity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 small-scale setting and explo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experiences. Methods To achieve this, data were collected from 6 students in grades 3 to 6 who participated in after-school sports activities at a small-scale elementary school during the first semester from March to July 2023. Data col-lection involved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nd document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terative comparative analysis, and the credibility of the research was ensured through triangulation, peer dis-cussions, and confirmation from research participants. Results The students' experience in small-scale elementary school after-school sports activities is described as “Reviving the Spark of Small-Scale School Physical Education.” Due to insufficient preparation in regular physical education classes by homeroom teachers, students had lost interest. In response, after-school sports activities served the purpose of fulfilling the lack of physical activity, bridging care gaps, and providing enjoyable leisure time, positively impacting students' holistic development and self-realization.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is framed as “Illuminating the Torch of Public Education.” The collaborative format of after-school sports activities facilitated interaction between grade levels, fostering exchange among students. It provided opportunities for mutual learning and motivation between juniors and seniors. Additionally, it contributed to reducing private educa-tion expenses, restoring trust in public education, and offering a broad range of sports experiences. Conclusions The after-school sports activities in small-scale elementary schools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for growth and development on various levels. Therefore, the activation of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in small-scale elementary schools is necessar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태현(TaeHyeon Lee),박재정(JaeJeong Park). (2024).소규모 초등학교 학생의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 경험과 교육적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0), 405-422

MLA

이태현(TaeHyeon Lee),박재정(JaeJeong Park).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의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 경험과 교육적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0(2024): 405-4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