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7

영문명
The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f High School Student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Moderated Mediation of Social Supports by Fear of Failur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선미(Sunmi Kim) 오은주(Eunjoo Oh)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147~16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선정하고 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사회적지지가 가지는 효과성과 그 경로를 분석함으로써 사회부과 완벽주의로 인한 학업지연행동을 빈번하게 겪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업지연행동으로 인한 어려움을 다룰 때 고려할 점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경기도 남부 소재 네 개의 인문계 고등학생 385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SPSS(28.0.1.(1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신뢰도 분석 및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실패공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가 제안한 위계적 회기분석과 Sobel Test를 진행하였으며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Aiken과 West가 제안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변수들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Hayes가 제안한 방법에 따라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학업지연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패공포는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패공포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지지가 실패공포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실패공포를 통해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사회적지지가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지지가 평균 이상일 경우에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평균보다 낮은 경우에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실패공포의 정도에 따라 사회적지지는 학습자에게 각각 다른 방식으로 인식되어 학업지연행동에 상이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무조건적인 사회적지지를 제공하는 대신 학습자의 성향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사회적지지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observ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s by fear of fail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Methods For this research, an online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on 385 students (177 males and 208 fe-males) attending four academic high schools located at southern Gyeonggi Province.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re as followed. First, it was found tha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a direct effec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In other words, students with highe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tendency to experience academic procrastination often. Second, it was found that fear of failure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academic pro-crastination was meditated through fear of failure. Third,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s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failur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Furthermore, social supports were found to strengthen the impact between fear of failur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n other words, the greater the so-cial supports, the greater the impact between fear of failur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However, when the fear of failure was low,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s, the less academic procrastina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fear of failure was high, the academic procrastination appeared frequently regardless of the level of social supports. Depending on the degree of fear of failure, people perceived reputation from others negatively or pos-itively, which can be thought to affect academic procrastination. Fourth, social prescribed perfectionism affected academic procrastination through fear of failure controlled by the social support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the moderated mediation of social supports by fear of failure when social supports were average or above average. On the other hand, when social supports were low, the moderated mediation of social supports by fear of failure was found to be invalid.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academic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fear of failure, social supports can be perceived to learners in different ways and have different effect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ppropriate social supports in consideration of learners' tendencies instead of providing unconditional social suppor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미(Sunmi Kim),오은주(Eunjoo Oh). (2024).고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0), 147-166

MLA

김선미(Sunmi Kim),오은주(Eunjoo Oh). "고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0(2024): 147-1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