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특수교사의 전문성 자질 인식

이용수 19

영문명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 qualifications: Focused on professional standard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범애령(Ai Ling Fan) 이효정(Hyo Jun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519~535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국 교육부가 반포한 ‘특수교사 전문성 표준(시안)’을 바탕으로 중국 특수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집단별 전문성 자질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중국 H성 11개 시의 현직 특수교사 총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26.0을 활용하여 특수교사의 배경 정보에 대한 기술통계분석을 하였으며, 배경 변인에 따라 집단별 전문성 자질 인식 차이 분석을 위한 독립표본 t 검증과 ANOVA 및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특수교사의 배경 변인이 전문성 자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Spearman계수를 통해 배경 변인과 인식 간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중국 특수교사의 전문성 자질에 대한 전체적인 인식 수준은 높은 편이었으나 전문 지식 영역은 여전히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교직경력, 직무, 학력, 학교설립 유형 특성에 따라 특수교사의 전문성 자질 인식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특수교사의 교직경력과 학력은 전문성 자질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결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특수교사의 전문성 자질 현황을 논의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 qualities among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based on demographic variables, grounded in the ‘Standar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Professionalism (Draft)’ issu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China. Method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15 act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11 cities of H Province in China. Data processing utilized SPSS 26.0 to conduct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background in-form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Based on the background variables, independent sample t-verification, ANOVA and Scheffé follow-up verification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professional qualifications cognition among different groups. To observe the impact of background variables on perception of professional qualifications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correlation between background variables and qualifications was assessed using the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follow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while the level of perception of professional qualities among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generally high, there were still deficiencies in the area of professional knowledg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 qualities were also found according to years of service in teaching, job responsibilities,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type of school establishment. Notably, years of service in teaching and educational background had a impact on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 qualities.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the current state of professional qualities among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roposes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범애령(Ai Ling Fan),이효정(Hyo Jun Lee). (2024).중국 특수교사의 전문성 자질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0), 519-535

MLA

범애령(Ai Ling Fan),이효정(Hyo Jun Lee). "중국 특수교사의 전문성 자질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0(2024): 519-5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