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 영유아교사의 모의수업 불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47

영문명
A study on simulated instruction anxiety of pre-service teacher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아라(Ara Choi) 송윤나(Yun-Na S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0호, 393~403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예비 영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 전공만족도, 긍정심리자본이 모의수업 불안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고, 예비 영유아교사의 모의수업 불안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G시 4년제 대학에서 보육 및 유아교육 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190명이다. SPSS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모의수업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예비 영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 전공만족도, 긍정심리자본의 모든 하위요인들은 모의수업 불안과 모두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예비 영유아교사의 모의수업 불안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 모의수업 참여 횟수, 전공 교과 만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예비 영유아교사의 모의수업 불안에 있어 자기효능감, 모의수업 참여 횟수, 전공 교과 만족이 중요한 예측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모의수업 불안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가 거의 없는 학문적 현실에서 예비 영유아교사들의 모의수업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 양성 교육과정 및 예비 영유아교사 대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how the general characteristics major satisfac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are related to simulated instruction anxiety, and confirms their rela-tive influence on simulated instruction anxiet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90 university student enrolled in departments related to child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program, and the relatiove influence of variables affecting simulated instruction anxiety was conformed throug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all sub-factor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major satisfac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pre-service teacher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imulated instruction anxiety.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ve influence on pre-service teacher’s simulated instruction anxiety,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was in the order of self-efficacy, number of simulated instruction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ith major subjects.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variables that affect pre-service teachers’ simulated in-struction anxiety in an academic reality where there is little actual research on simulated instruction anxiety.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urriculum and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아라(Ara Choi),송윤나(Yun-Na Song). (2024).예비 영유아교사의 모의수업 불안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0), 393-403

MLA

최아라(Ara Choi),송윤나(Yun-Na Song). "예비 영유아교사의 모의수업 불안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0(2024): 393-4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