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시대 한국소설에 나타난 이모 표상의 의미망

이용수 12

영문명
An Essay on the Networks of Maternal Aunt Representation in Korean Contemporary Novels: Focused on Exploration of (Fictive) Kinship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정미선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4권 12호, 317~331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동시대 한국소설에 새로이 등장하는 ‘이모’의 징후적 인물형에 주목하여, 이모 표상의 발생 맥락과 서사적 의미망을 규명한 결과다. 한국사회에서 친족 어휘 이모의 용례는 여성의 삶에 사상되는 젠더정치의 교차적 심급을 소환할 뿐더러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여성 주체의 전범적 표상으로 재해석되고있어 주목을 요한다. 본고는 이모 표상이 부계 중심 혈연/법적 친족 서사를 여성가족사소설로 재편하는데서 발견된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모 표상은 혈연/법적 친족성의 구성에 개입하고 자연화되는 규범성들에 대한 서사적 탐색으로부터 세대를 이어 상속되는 정동적 불평등과 젠더화된 세대전이적 트라우마를 추적하는 과정 중 구성적 외부로 호명됨으로써 발생한다. 더 나아가 이모 표상은 가상적 친족성의가능성을 탐색하는 서사화 속에서 증여와 정동적 평등의 관계윤리로 나아가는 세대전이적 과정으로 여성 간 관계성을 재맥락화함으로써 분화된다. 결론적으로, 동시대 한국소설의 이모 표상은 친족성에 대한 성찰과 대안적 친족 모색에 대한 여성 공중의 마음을 징후적으로 표현하는 기표다.

영문 초록

This essay i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context and narrative network of the maternal aunt that appeared newly in contemporary Korean novels. Maternal aunt is new representation of the female subject after a feminism reboot. This essay noted that this representation was found in reshaping the paternally centered blood/legal kin narrative into the female family-history narrative. This begins with a narrative exploration of normativity that intervenes and naturalizes in the composition of the blood/legal kin, and occurs by being called out of the construct during the process of tracking the gendered transgenerational trauma caused by inherited affective inequality. Furthermore, this representation is differentiated by recontextual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s a transgenerational process that goes to the relationship ethics of gift and affective equality in the narrative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fictive kinship. In conclusion, the maternal aunt representation in contemporary Korean novels symptomaticly expresses the female public's mind on reflection on kinship and the search for alternative kinship.

목차

1. 서론
2. 혈연/법적 친족성의 임계와 이모의 발견
3. 가상적 친족성의 확장적 탐색과 이모 표상의 분화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미선. (2022).동시대 한국소설에 나타난 이모 표상의 의미망. 문화와융합, 44 (12), 317-331

MLA

정미선. "동시대 한국소설에 나타난 이모 표상의 의미망." 문화와융합, 44.12(2022): 317-3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